"유가 인상이 촉발한 반정부 시위로 최소 180명 사망"
야권 지도자, 팔레비왕조 무너뜨린 1978년 대학살과 비교하며 맹비난
지난달 휘발유 가격 인상으로 촉발된 반정부 시위로 이란이 1979년 이슬람혁명 이래 최악의 위기를 맞았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발단은 지난달 15일 이란 정부가 휘발유 가격을 50% 전격 인상한 것이었다. 당일 밤부터 산발적으로 시작된 항의 시위는 시간이 지나면서 극심한 빈부격차와 경제난 등에 대한 불만이 더해지면서 점점 더 격렬해졌다. 성난 민심은 정부 퇴진을 요구하며 크고 작은 시위를 이어갔고, 이란 정부가 이에 대응해 가차 없는 강경 진압을 하면서 사상자가 속출했다.
인권단체인 국제앰네스티가 지난달 23일 기준 이번 시위 사망자 수가 최소 115명이라고 밝혔으며, NYT는 이날 "최소한 180명이 숨졌고, 사망자는 최대 450명 이상일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NYT는 시위대 대부분이 무직이거나 저임금에 시달리는 19~26세 젊은이들이며, 이란혁명수비대가 비무장 상태인 이들을 향해 발포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목격자들과 의료진을 인용, 저임금 아랍인들이 모여 살아 전통적으로 반정부 성향이 강한 남서부 도시 마흐샤흐르에서만 이란혁명수비대원들이 130명을 사살했다고 덧붙였다. 이란 반정부 시위는 당국이 지난달 16일밤부터 인터넷을 전면 차단하면서 급격히 위축됐다.
뉴욕에 본부를 둔 이란 인권센터 관계자는 "최근 이란 정부가 국민을 향해 가한 치명적인 폭력은 전례가 없다"고 지적했다. NYT는 "이번 사태는 이란 지도자들이 심각한 경제적, 정치적 위기에 직면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란 야권 지도자 미르 후세인 무사비는 지난달 29일 인터넷을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하메네이가 자행한 무차별 강경진압과 관련, 팔레비 왕조 붕괴를 촉발한 1978년 당시 정부군의 대학살에 비유하며 맹비난했다. NYT는 "시위에 대한 초강경 진압은 이란 지도자들과 8천300만 국민의 상당수 간 균열이 굳어지고 있다는 신호로 읽힌다"고 논평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