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 사는 A씨는 지난 3월 모 은행 관계자를 사칭한 보이스피싱범으로부터 "1천만원을 지정한 계좌에 송금하면 그간의 대출기록을 삭제하고 4천600만원까지 추가로 대출해주겠다"는 전화를 받았다. 얼떨결에 1천만원을 입금하고 운전면허증 사본까지 문자메시지로 전송한 뒤에야 보이스피싱을 당한 사실을 알게 된 A씨는 또 다른 피해를 막기 위해 주민등록번호를 바꾸기로 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번호변경위원회는 올해 1∼11월 A씨처럼 보이스피싱 사기로 피해를 본 뒤 주민등록번호 변경을 신청한 경우가 158건(명)으로, 이 가운데 143건에 대해 변경 결정(인용)했다고 1일 밝혔다.
보이스피싱 피해로 주민번호 변경을 신청한 158명의 연령대는 50대 42명(26.6%), 20대 39명(24.7%), 30대 28명(17.7%), 40대 24명(15.2%), 60대 19명(12.0%), 70대 이상 5명(3.2%) 등으로 나타났다.
위원회가 주민등록번호 변경 결정을 한 143건의 보이스피싱 당한 수법을 보면 범죄에 연루됐다며 협박을 들은 경우가 73건(51.0%)으로 가장 많았고 대출실행 등 금융관련 사기는 64건(44.8%)이었다.
비교적 최근 나타난 수법의 메신저 피싱도 3건(2.1%) 있었다.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하며 "문화상품권을 사야 하니 신용카드와 주민등록증이 필요하다"는 식의 메시지를 보내 문화상품권을 사도록 유도한 뒤 가로채는 방식이다.
주민등록번호를 변경한 피해자들의 재산피해는 1인당 1천만∼5천만원이 66건(54.1%)으로 가장 많았고 100만∼1천만원 31건(25.4%), 5천만∼1억원 15건(12.3%) 등으로 뒤를 이었다. 1억원 이상 피해를 본 경우도 6건 있었다.
주민등록번호 유출 경로(중복 있음)는 카카오톡이나 문자메시지가 46건으로 가장 많았고 원격조정앱(28건), 팩스(20건), 허위사이트(18건), 대면전달이나 전화 통화(13건) 순이었다.
홍준형 주민등록번호변경위원장은 "주민등록번호 변경제도는 개인정보 자기 결정권을 보호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방어 수단"이라며 "보이스피싱으로 주민등록번호가 유출된 경우 2차 피해를 막는 데에 주민등록번호 변경이 도움이 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