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분쟁·홍콩 사태 갈등 중 미·중, 인권 탄압 거론하며 격돌

입력 2019-11-27 15:11:25

폼페이오 "中, 소수민족 인권탄압 멈춰야"…중국 인권단체 "미국 내 여성인권 심각"

무역 분쟁과 홍콩 민주화 시위 사태 등을 두고 갈등 중인 미국과 중국이 인권 탄압 문제를 거론하며 격돌하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이 26일(현지시간) 중국 당국의 신장(新疆) 지역 소수민족 탄압 의혹을 언급하며 즉각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폼페이오 장관은 국무부 기자회견에서 "이번 문건(외신들의 중국 인권 탄압 폭로 문건)은 중국의 지도부가 대규모 인권 침해 사건에 책임이 있다는 강력한 증거"라며 "위구르족을 포함해 신장의 이슬람교도를 무자비하게 감금하고, 조직적으로 억압했다"고 말했다고 AP 통신이 보도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홍콩 민주화 시위 사태와 관련, 홍콩인들에게 축하를 보낸다며 "미국은 일국양제 및 홍콩인들의 열망에 따라 보장돼야 하는 민주주의의 가치, 홍콩의 근본적 자유를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2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미중 무역분쟁을 해소하기 위한 협상이 진행되는 시점에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인 것으로 보인다.

앞서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16일 신장(新疆)웨이우얼자치구에 2017년 들어선 '직업훈련소'가 소수민족을 탄압하는 강제 구금시설이라는 증거가 담긴 중국 정부 내부 문건을 보도했다.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 소속 매체들도 이를 뒷받침하는 상세 자료들을 뒤이어 공개했다.

폼페이오 장관이 다른 국가에도 우려 표명을 독려하자 영국, 독일, 일본 등 미국의 우방들도 중국 비판 대열에 나섰다고 AP는 전했다.

이에 중국은 미국 내 여성 인권 문제를 거론하며 응수했다. 27일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 등에 따르면 중국인권연구회는 미국 내 성차별로 여성 인권이 침해받고 있다는 주장을 발표했다.

중국인권연구회는 "미국 여성은 제도적으로 차별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은폐 상황은 끔찍하다"면서 "경제 분야에서 취업과 임금 등 분야에서 성 불평등과 여성의 폭력 침해 상황이 심각하며 소수 민족 여성들의 권리가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지석 선임기자 jiseok@imaeil.com·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