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NGO청년인턴사업, Pre-Job 지원사업과 통폐합…시민단체 반발

입력 2019-11-21 17:02:51 수정 2019-11-21 21:22:13

시민단체 인턴 급여 대구시가 지급하는 사업, 통폐합으로 활동 기간 10→5개월 반토막
시민단체 “공익활동에 대한 몰이해 반증, 불통 행정”
市 “기간 줄지만 추가지원 돼 청년 혜택은 더 커져” 해명

지역 시민사회단체 인턴의 급여를 대구시가 지원하는 'NGO(비정부기구)청년인턴사업'이 대구상공회의소가 주관하는 '청년 Pre-Job 지원사업'과 통폐합되면서 시민단체의 반발이 거세다.

대구참여연대와 대구녹색소비자연대 등 15개 시민단체는 21일 성명을 통해 "대구시의 NGO청년인턴사업 축소·변질을 규탄한다"며 "권영진 대구시장은 청년·시민단체와의 대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대구시가 지난 2016년부터 진행한 NGO청년인턴사업은 고용 여력이 부족한 시민단체에서 일하는 인턴의 급여를 시비로 지원하는 것이다.

매년 10~20개 단체에 인턴으로 취업한 청년들이 공익활동을 펼쳤고, 대전엔지오센터가 해당 사업을 벤치마킹하는 등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최근 대구시는 내년도 예산을 편성하면서 기존에 대구시민센터가 주관하던 해당 사업을 대구상공회의소 주관 '청년 Pre-Job 지원사업'(프리잡 사업)과 통폐합하고, 지원 기간도 최장 10개월에서 5개월로 축소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프리잡 사업은 청년이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정식 취업 전 미리 일을 경험해보는 사업이다. 시는 내년에 열리는 세계가스총회 등으로 예산 사정이 좋지 않고, 비슷한 청년 일자리 정책을 묶어 효율성을 도모하려는 취지로 통폐합을 결정했다.

시민단체는 "취지와 목적이 다른 두 사업을 일방적으로 통폐합하는 것은 시민사회에 대한 시의 몰이해를 반증한다"며 "상공회의소가 사업 주체가 되면 공익활동을 원하는 청년들이 사업에 참여할 지도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대구시 시민소통과 관계자는 "내년 프리잡 사업의 수혜자 약 220명 중 20명 정도를 NGO 몫으로 배정해 놓은 상태"라며 "기간이 줄어드는데 대한 불만은 이해하지만 사업 변경 뒤 청년수당과 취업장려금 등 청년 혜택은 더 많아질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