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미술관·대구오페라하우스 이어 콘서트하우스도? '대구경북 예술인' 번번이 낙방하자 '지역 인사 배제설' 나돌아
대구시 "공무원 개방형 직위 심사기준 따르고 있다. 원칙 따라 지역 예술 기여할 누구든 선임할 것"
대구콘서트하우스 신임 관장 재공모 절차가 진행 중인 가운데, 대구 음악계를 비롯한 지역 예술계는 대구시가 대구미술관, 대구오페라하우스에 이어 대구콘서트하우스 수장 자리도 의도적으로 지역 인사를 배제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앞서 10월 콘서트하우스 관장 1차 공모에 대구에서 활동하는 주요 음악인 8,9명을 포함, 모두 12명이 응시했지만 대구시는 '적격자 없음' 결정을 내렸다.
대구시는 지난 해 대구미술관 관장 선임 때도 2회에 걸쳐 '적격자 없음' 결정을 내린 뒤, 올해 3차 공모에서 외지 출신 관장을 선임했고, 최근 대구오페라하우스 신임 대표에도 타지인을 선임했다.
지역 예술계에서는 '지원자 능력을 파악하기엔 면접 시간이 턱없이 짧았고, 심사위원도 대구 공연예술 사정을 잘 모르는 외지인들 뿐이었다'는 주장이 나돌며 지역 인사 배제설이 힘을 얻고 있다.
예술기관 수장을 역임한 한 음악인은 "대구시가 1차 공모에 지원한 주요 대구 음악인들을 모두 '비적격자'로 판단한 것은 지역 예술인을 '수준 이하'로 본다는 말 아니겠느냐. 그런 인식은 상당히 불공정하다"고 강한 불만을 터뜨렸다.
대구시의 '내 사람 심기'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공무원 개방형 직위 채용 관련법에 따르면 선발심사위원회는 재공모에서도 적격자가 없을 때는 가장 적격하다고 판단하는 소속 공무원을 최장 1년 간 임용할 수 있다.
대구시 인사혁신과 관계자는 "심사위원 선정에 지원자의 출신 학교와 근무처 인맥을 제외해 특정인이 유리하지 않도록 하는 게 원칙이다. 1차 공모 때 지원자들과 인맥이 연결되지 않는 지역 심사위원도 포함돼 있었다"며 "원칙에 따라 지역 예술에 기여할 수 있는 인물을 선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대구경북 예술인들이 스스로 신뢰를 갉아먹은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누군가 후보군에 오르내리기만 해도 '내정설', '뇌물 수수설', '성추문설'을 퍼뜨려 대구경북 예술인 스스로 기회를 박탈한다는 것이다. 한 예술인은 "대구시 입장에서는 이런 잡음과 논란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또 예술발전이나 후배 양성에는 관심없이 자리만 났다하면 여기저기 기웃거리는 인사들도 문제다. 예술인들이 자신들의 행태를 돌아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대구시는 공무원 개방형 직위인 대구콘서트하우스 신임 관장직 2차 공모 원서 접수를 20일 마감했다. 2차 공모 지원자는 1차 때와 비슷한 10명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임 관장은 향후 2년 간 일반임기제로 근무하며, 실적에 따라 추가로 최대 3년을 더 근무할 수 있다. 연봉은 평가에 따라 5천989만~8천9156만원선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