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혁신원자력단지, 원자력진흥위 통과…내년 예타 신청

입력 2019-11-19 17:11:54 수정 2019-11-19 20:53:48

18일 제8차 원자력진흥위서 경주에 연구기반조성 의결…사업비 8천억 원대

지난 7월 열린 혁신원자력 연구개발 추진을 위한 경북도·경주시·한국원자력연구원 업무협약 체결식 당시 모습. 매일신문 DB
지난 7월 열린 혁신원자력 연구개발 추진을 위한 경북도·경주시·한국원자력연구원 업무협약 체결식 당시 모습. 매일신문 DB

경상북도가 정부와 함께 추진하고 있는 '경주 혁신원자력연구단지 조성사업'이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원자력진흥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국비 지원 확보와 함께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동력을 마련해 사업은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19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18일 열린 제8차 원자력진흥위원회에서 경주 혁신원자력 연구개발사업이 포함된 정부의 '미래선도 원자력 기술역량 확보 방안'이 최종 의결됐다.

이 사업은 기본 인프라와 각종 시설 구축 등에 8천210억원을 투입해 초소형원자로 등 미래 원자력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사업비는 지난 7월 경북도와 경주시, 원자력연구원의 혁신 원자력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당시 발표된 7천210억원보다 1천억원가량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경주에 신규로 이전할 인력의 정주지원 사업비 등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사업안이 원자력진흥위 의결을 거친 만큼 사업비 가운데 국비가 투입될 3천억원 규모의 재정 마련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사업을 주관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월쯤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기획재정부에 신청하고, 내년 상반기 예타 조사가 마무리되면 2021년 국비 확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경북도는 이에 앞서 연구단지 조성에 따른 경주지역 발전 전략 수립과 활성화 방안 마련 등을 위해 내년도 도비 예산 1억3천만원을 용역비로 확보할 계획이다.

특히 산업과 관광, 정주여건 삼박자가 어우러져 지역경제 활성화를 가져온 프랑스의 '소피아 앙띠폴리스' 등 해외 선진사례를 벤치마킹해 원자력 연구와 관광, 주거가 함께 갖춰진 연구단지를 조성할 작정이다.

도는 혁신원자력연구단지가 조성되면 경주지역에 초기 연구인력 500여 명이 유입되고 최종적으로는 1천여 명의 연구인력이 지역에 상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원자력진흥위원회 의결로 경북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한 혁신원자력연구단지가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면서 "지역에 축적된 원자력 인프라와 인력을 적극 활용해 경주를 세계 속의 혁신적인 R&D 연구단지로 만들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