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찾은 문재인 대통령,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열리는 부산에서 현장 국무회의 주재

입력 2019-11-12 18:05:24

부산경남 민심 다독이기란 평가도 나와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오전 부산에서 국무회의 전 이낙연 총리 등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오전 부산에서 국무회의 전 이낙연 총리 등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오는 25일~27일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한·메콩 정상회의가 열리는 부산 벡스코에서 12일 현장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준비상황을 점검했다. 문 대통령이 청와대가 아닌 장소에서 국무회의를 연 것은 취임 이후 세 번째로 한·아세안 대화 관계 수립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하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 의지를 다지는 차원도 있지만 내년 총선을 앞두고 부산경남 민심 다독이기 포석이란 관측도 나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한·메콩 정상회의는 지난 2년 반 동안 우리 정부가 진심과 성의를 다해 추진해온 신남방정책의 중간 결산"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우리 정부 들어 국내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 다자 정상회의"라며 "범정부 차원의 역량을 결집하고 국민적 관심과 성원을 모으는 한편 준비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개최 도시인 부산에서 현장 국무회의를 열게 됐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 외교정책은 두 가지 점에서 과거 정부와 다른 큰 변화를 실천하고 있다"며 ▷대화·외교를 통한 한반도 문제 해결 추구 ▷4강 중심 외교에서 아세안 중심 외교·교역 관계로의 외연 확대를 꼽았다.

문 대통령은 또 "아세안은 세계 어느 지역보다 성장이 빠르고 성장 잠재력도 매우 크다. 부산은 아세안으로 통하는 바닷길·항공길이 시작되는 길로, 대륙·해양을 잇는 부산에서 공동번영·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한국·아세안의 지혜와 역량이 하나로 모이길 기대한다"고 언급, 부산의 지정학적 가치를 한껏 치켜 세웠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관심을 끌고있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부산 방문 여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

한편 청와대는 자치와 분권 정책 미흡 등 문재인 정부 지방정책에 대한 최근 비판을 의식한 듯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문 대통령이 임기 전반기에 모두 300회가 넘는 지역 현장 행보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지역주도 균형발전'과 관련해 청와대는 "2018년 10월부터 11회에 걸쳐 진행된 전국경제투어는 지역이 중심이 돼 자립적 발전을 위한 계기가 됐다"고 자평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