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헬기 이·착륙 영상' 경북경찰청 뒤늦은 공개

입력 2019-11-07 18:56:29 수정 2019-11-07 20:35:09

그동안 "없다"고 일관해오다 뒤늦게 피해자 가족에게만 공개
경찰, "이미 며칠 전 국토부 조사위와 해경에는 제출했다" 해명

7일 오전 대구 달성군 강서소방서에서 범정부현장수습 지원단 관계자들이 독도 해상 추락 소방헬기 수색상황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는 가운데 한 실종자 가족이 기도를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7일 오전 대구 달성군 강서소방서에서 범정부현장수습 지원단 관계자들이 독도 해상 추락 소방헬기 수색상황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는 가운데 한 실종자 가족이 기도를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독도경비대 헬기장 폐쇄회로(CC)TV에 독도 해상 헬기 추락사고 당시 사고 헬기 이·착륙 모습이 찍힌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경찰청은 그동안 헬기 추락사고 관련 영상은 보유한 것이 없다고 밝혀왔지만, 영상 존재 여부를 둘러싼 피해자 가족들의 논란이 불붙자 뒤늦게 7일 오후 5시 30분 피해자 가족지원실과 범정부수습지원단이 마련된 대구 강서소방서에서 이를 공개한 것.

이날 언론을 배제한 채 피해자 가족들에게만 공개된 영상에는 사고 헬기의 착륙과 이륙 장면이 담긴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추락 장면은 찍히지 않았다.

경찰은 "독도경비대 헬기장 주변 여러 CCTV 가운데 1대에 사고 헬기 모습이 찍혔다. 다만 CCTV는 헬기장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해 있어 헬기 이·착륙 장면만 찍혔을 뿐 추락 장면은 나오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영상을 공개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지난 2일 국토부 조사위, 5일 해경에 이미 영상을 제출한 상태였다. 수사 주관 기관은 해경으로 경북경찰청 차원에서 공개 여부를 판단할 위치에 있지 않았기 때문"이라면서 "피해자 가족에게 헬기 CCTV와 관련한 의혹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공개하기로 한 것"이라고 배경을 밝혔다.

수습지원단에 따르면 현재 독도에는 모두 19대의 CCTV가 설치돼 있다. 이 중 경북청 독도경비대가 설치한 것이 16대로 가장 많고, KBS가 2대, 국립해양측위정보원이 1대씩을 운용·관리 중이다.

이 중 5대는 독도 내 건물 등 실내에 설치돼 있고 11대가 외부에 설치돼 있지만 사고 현장과는 무관한 각도를 비축 있어 유일하게 1대에만 헬기 착륙과 이륙 장면이 잡혔다는 설명이다.

또 KBS에서 관리하는 파노라마 카메라 2대 중 1대는 낙뢰 등에 대비한 예비용이어서 사고 당시에는 작동하지 않았다. 정상 작동된 나머지 1대는 독도 서도 방향을 향해 있어 역시 사고 장면이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7일 오후 열린 브리핑에서도 여전히 KBS 영상이 피해자 가족들 사이에 가장 큰 논쟁거리였다. 이에 대해 해경 관계자는 "현재 1대의 휴대전화를 임의제출 받아 디지털포렌식 중이며, 끝나는 대로 국과수 관계자가 직접 피해자 가족들에게 설명할 것"이라며 "당시 독도에 또 다른 KBS 직원의 휴대전화에 대해서는 임의제출 받기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