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단계 목표 인구 7만5천 명 규모의 도시기반 구축 중이지만 인구 채울 방안 마땅히 없어
경북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에 조성되고 있는 경북도청 신도시 2·3단계 사업의 인구 확보 종합계획이 시급하다.
행정기관 이전 등으로 인구 확보가 상대적으로 쉬웠던 1단계와 달리 2·3단계 사업은 주거용지가 중심이어서 인구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2010년부터 2027년까지 약 10㎢ 부지에 인구 10만 명을 목표로 1~3단계 도청신도시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먼저 2015년 12월 경북도청과 교육청, 경찰청과 같은 기관을 이전해 행정타운을 조성하는 1단계 사업을 준공하고 인구 유치에 나섰다.
그 결과 경북도청과 교육청 2016년 3월, 경북경찰청 지난해 7월 각각 도청신도시로 이전하면서 인구 2만명을 넘겼다. 올 9월 말 현재 주민등록 인구(1만6천317명)에다 상주인구까지 합해 2만1천670명이 도청신도시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1단계 목표인구 2만5천500명의 84%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제 1단계의 3배에 이르는 2·3단계 사업의 목표 인구 7만4천500명을 어떻게 확보할지가 경북도의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문제는 2·3단계 부지가 주로 아파트 등 주거용지여서 추가로 이전할 행정기관이 없어 대규모 인구 유치 요인이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더욱이 경북도에는 인구 확보 종합계획도 없다. 애초 신도시 개발계획 당시 마련한 몇 장짜리 기본구상이 전부다.
그마저도 도청·관련기관 이전 등 행정기능에 따른 인구유입을 4만5천여 명으로 잡은 거여서 1단계도 지나고 행정기관 이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현재의 2만여 명과 괴리가 크다.
또 이 기본구상에 따르면 산업시설, 대학·호텔·종합병원 유치 등에 따른 인구유발은 1만여 명뿐으로 나머지 4만4천여 명은 주변 시군, 타 지역 이주 주민으로 채우겠다고 돼 있다.
하지만 도청 이전 이후 북부권 7개 시군 인구는 2015년 48만1천 명에서 47만4천 명으로 7천명 정도 준 것이 고작이어서 외부 유입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 지역에서 도청신도시나 주변 시군으로의 인구 유입도 적고, 경북 북부권 시군들로부터의 신도시 인구 유입도 기대에 못 미친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도시 밑그림인 도시계획을 수정하는 것보다 인구확보 종합계획을 세워 어떻게 인구를 채울지 함께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