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드래프트 2주 앞으로…삼성, 진흙 속 진주 찾는다

입력 2019-11-06 15:02:49

1.5~2군급 선수 3명까지 지명할 수 있어
2차 드래프트 이후 2차 웨이버공시 가능성

삼성 라이온즈 허삼영 감독. 삼성 라이온즈 제공
삼성 라이온즈 허삼영 감독. 삼성 라이온즈 제공

2020 KBO 2차 드래프트가 2주 앞으로 다가왔다. FA(자유계약선수) 시장에 무관심한 삼성 라이온즈는 이번 드래프트에서 진흙 속 진주를 찾아 전력 보강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격년으로 열리는 2차 드래프트는 오는 20일 개최된다. 2차 드래프트란 1.5~2군급 선수를 영입할 수 있는 지명행사다.

각 팀은 2차 드래프트가 열리기 전에 2년차 이하 선수, FA 권리 행사 선수, 외국인 선수를 제외한 나머지 선수 가운데 40인 보호선수 명단을 제출한다.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한 선수가 2차 드래프트 대상자가 된다.

각 팀은 3라운드, 즉 3명까지 지명 가능하며 한 팀에선 4명까지만 피지명된다. 지명 순서는 올 시즌 성적의 역순이다.

아울러 매년 열리는 신인드래프트 2차지명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삼성은 2년 전 2차 드래프트에서 이성곤(두산 베어스), 손주인(LG 트윈스), 박세웅(SK 와이번스)을 영입한 바 있다.

다만 이적 후 군 입대한 박세웅을 제외하고 큰 재미를 보진 못했다.

올해 삼성은 취약 포지션, 군 입대로 인해 뎁스 약화가 예상되는 포지션, 주전 선수의 에이징 커브가 감지되는 포지션 등을 중심으로 영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2차 드래프트로 선수를 영입하면 원 소속 구단에 보상금을 지급한다. 1라운드 3억원, 2라운드 2억원, 3라운드 1억원씩이다.

2차 드래프트가 끝나면 2차 웨이버공시(방출)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삼성은 지난 2일 곽경문, 최종현, 황선도, 김연준, 정광운 등 8명과 작별한 바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