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춘추] 헬리콥터 맘과 캥거루족

입력 2019-11-06 11:16:54

장삼철 삼건물류 대표·수필가

장삼철 삼건물류 대표, 수필가
장삼철 삼건물류 대표, 수필가

봉준호 감독이 2009년에 만든 김혜자, 원빈 주연의 '마더'는 모성애의 극한을 보여주는 영화다. 아이가 5살 때, 너무나 살기가 힘들어 동반자살을 하려고 음료수에 농약을 타서 먹였으나 미수에 그친다. 그 아이가 28살의 청년이 되었지만 지능은 어린이 수준이다. '바보'란 소리만 들으면 폭력적으로 변하는 아들이 어떤 연유로 살인사건에 휘말리게 되자 엄마는 지능이 떨어지는 순수한 자신의 아들이 그랬을 리가 없다면서 누명을 벗기기 위해 직접 나선다.

영화는 여성의 극단적 모성애를 보여주는데, 첫째는 동반자살 시도다. 엄격하게 말하면 아이를 살해하고 자신도 자살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반자살이란 말은 맞지가 않다. 아이를 소유물로 착각하는 데서 오는 오류일 뿐인 것이다. 엄마의 걱정과는 달리 아이는 엄마가 없어도 충분히 살아갈 수가 있다. 모정의 결핍은 어쩔 수 없겠지만. 두 번째는 자식을 해코지 하려는 대상에게 가하는 공격성이다. 이는 새끼에게 위해를 가하면 목숨을 걸고 덤벼드는 어미와 같은 동물적인 본능이다. 아들을 보호하려는 마음에 처참하게 살인을 하고는 "지금 내가 무슨 짓을 한 거지?"라는 말을 한다. 의지였다기보다는 반사적 행동이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단순한 모성애에만 끌려 아이를 키우는 다소 푼수기의 홀어머니를 보면서, 아이는 농약사건이 아니었어도 마마보이로 밖에 자랄 수 없었겠구나 하는 마음이 들어 영화를 보는 내내 불편했다. 육아와 양육을 구별하지 못하는 엄마들이 너무나 많다. '헬리콥터 맘'이니 '캥거루족' 같은 말도 모두 극성스런 엄마들 때문에 생긴 신조어 아니겠는가. 지나치게 간섭하며 과잉보호를 하는 엄마를 헬리콥터 맘이라고 한단다. 여기에 필연적으로 따르는 말이 바로 캥거루족이다. 성인이 되어도 독립하지 못하고 부모에게 의지하는 자녀를 일컫는다.

필자는 첫돌 사진은 고사하고 어릴 때의 사진이라곤 없다. 아래 여동생도 마찬가지다. 사진이 없는 이유가 너무 시골이어서거나 가난해서가 아니다. 누나나 형은 어릴 때 사진이 꽤 있다. 부모님께서 두 서넛 키우시다보니 넷째부터는 심드렁해진 것이다. 아무래도 손길이 덜 미쳤다는 이야기인데, 역설적이게도 나와 여동생이 형제 중 생활력이 강하다. 누가 챙겨주지 않으면 스스로 길을 모색하게 되어 있다. 그게 성장하면서 경쟁력이 되는 것이다.

고기를 잡아주는 것보다는 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는 말이 있다. 알고는 있지만 실제로 그렇게 키우기란 쉽지가 않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내 자식을 생각하면 애처로운 마음이 앞선다. 그러나 정말로 꽃길을 걷게 하고 싶다면 눈보라 치는 거리로도 내몰 줄 알아야 한다. 자녀에게는 춘풍과 같은 사랑도 중요하지만 추상같은 엄격함도 필요하다. 부모는 자식을 독립된 인격체로 여기고, 사회의 구성원으로 잘 적응하게 훈육시킬 의무가 있다. 장삼철 삼건물류 대표·수필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