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가로 방향 축으로 접히는 '클램셸' 폴더블 폰 시안 공개
삼성전자가 최근 가로방향을 축으로 반이 접히는 '클램셸' 디자인의 폴더블폰 신제품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폴더블폰 시장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접히는 제품들이 출시될 전망인 가운데 어떤 방식이 대세로 자리잡을 지 눈길을 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29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린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SDC) 2019'에서 새로운 형태의 폴더블폰 시안을 공개했다. 삼성전자가 지난 9월 출시한 갤럭시 폴드가 책처럼 세로방향으로 접히는 반면 새 폴더블폰은 가로방향을 축으로 안으로 접히는 방식이다. 업계에서는 이를 조개껍데기처럼 열고 닫힌다는 뜻에서 '클램셸' 방식으로 부른다. 기존 갤럭시 폴드가 펼쳤을 때 7.1인치가 되는 화면의 확장성을 강조했다면 클램셸 방식은 화면 확장보다는 접었을 때 작아지는 휴대성을 강조하는 게 특징이다.
정혜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프레임워크개발그룹 상무는 이날 기조연설을 통해 "갤럭시 폴드는 시작에 불과하다. 폴더블 기술의 놀라운 점은 더 콤팩트해질 수도 있다는 것"이라며 "우리가 실험하고 있는 이 새로운 폼팩터(하드웨어의 크기와 형태)는 주머니에 쏙 들어갈 뿐 아니라 여러분이 폰을 사용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삼성은 이 제품의 명칭이나 출시시기, 가격대 등에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해외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새로운 규격의 폴더블폰 제품을 잇따라 선보일 예정이다. 모토로라는 삼성전자가 29일 공개한 폴더블폰과 유사한 구조의 폴더블폰을 '레이저'라는 이름으로 올해 중 내놓을 전망이다. 화웨이는 11월 중으로 바깥면에 디스플레이를 두고 반으로 접히는 '아웃폴딩' 방식의 메이트X를 출시할 예정이다. TCL은 지난 24일 한쪽은 안쪽으로, 다른 쪽은 바깥쪽으로 접히고 모두 펼치면 10인치 태블릿 크기가 되는 폴더블 스마트폰 시제품을 공개하기도 했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폴더블폰 시장 규모는 올해 40만대에서 2020년 320만대, 2021년 1천80만대, 2022년 2천740만대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