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뱅킹 시작…"비자금 들킬라" 기우에 통장 숨기기 '분주'

입력 2019-10-30 16:08:01 수정 2019-10-30 17:11:16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앱)만으로 모든 은행 계좌에서 출금·이체하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앱)만으로 모든 은행 계좌에서 출금·이체하는 '오픈뱅킹(Open Banking)' 시범 서비스가 시작된 30일 한 은행 앱 화면의 모습. NH농협·신한·우리·KEB하나·IBK기업·KB국민·BNK부산·제주·전북·BNK경남은행 등 10개 은행은 이날부터 오픈뱅킹 고객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 연합뉴스

오픈뱅킹 시범 서비스가 시작된 가운데 오픈뱅킹의 연관 키워드로 '비자금'이 등장했다. 오픈뱅킹을 시작하면 감춰뒀던 비자금 통장이 드러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네티즌들이 해결책을 찾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오픈뱅킹은 하나의 은행 애플리케이션만으로 다른 은행 계좌를 조회하거나 계좌에서 자금 출금·이체가 가능한 서비스로 30일부터 시범 가동된다.

NH농협·신한·우리·KEB하나·IBK기업·KB국민·BNK부산·제주·전북·BNK경남은행 등 10개 은행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오픈뱅킹 고객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KDB산업·SC제일·한국씨티·수협·대구·광주·케이뱅크·한국카카오 등 나머지 8개 은행은 준비 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금융권은 제외됐다.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주거래 은행 애플리케이션에서 타행 계좌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금융거래의 편의성을 높였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의외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부부 사이에서 한 사람이 상대방 몰래 비상금 통장이나 마이너스 통장을 가지고 있는 경우 공인인증서를 공유하게 되면 해당 통장의 정체가 드러날 수 있다는 웃픈(웃기지만 슬픈) 고민이 등장했다.

현재로서는 오픈뱅킹 이용을 위해 애플리케이션에서 계좌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타행 계좌를 일일이 등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런 우려는 기우에 가깝다.

그러나 서비스 방식이 개선돼 공인인증서를 통한 '계좌 일괄 불러오기'가 가능해진다면 우려가 현실이 될 가능성도 있는 셈이다. 현재도 '뱅크샐러드'나 '내계좌한눈에' 등의 금융서비스에서는 계좌 일괄 조회나 불러오기가 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비자금 통장 운영하는 분들은 오픈뱅킹에 대비해야 한다" "비상금을 모을 수 있는 다른 아이디어를 찾아보자"며 의견을 공유하고 있다.

가장 명확한 방법은 해당 계좌에 대해서 인터넷 뱅킹을 해지하는 것이다. 아직은 오픈뱅킹 서비스가 적용되지 않는 협동조합, 상호금융, 저축은행, 우체국,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이나 국내에서 영업하는 다른 국가 은행을 이용하면 된다는 조언도 보였다.

증권사 CMA 계좌를 쓰는 방법도 있으며, 주식이나 현금 등으로 보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