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바논, 이라크, 이집트서 연쇄 전개…'실업난·부패 항의' 메시지도 유사
BBC "2011년 민중봉기가 미완으로 끝났다는 방증"

최근 레바논, 이라크, 이집트 등 중동 국가들에서 실업난과 지도층의 부패에 항의하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동시다발로 이어지고 있다. 2011년 중동에서 들불처럼 번진 '아랍의 봄'을 연상케 해 사태 추이가 국제적 주목을 받고 있다.
레바논에서는 이달 17일 시작된 대규모 반정부 시위 12일 만에 사드 하리리 총리가 29일 사임 의사를 밝히며 시위대에 항복했다. 레바논 시위는 정부가 스마트폰 메신저 앱에 하루 약 230원 세금을 부과한다는 발표에 항의하며 시작됐고, 점차 실업과 부패에 대한 반발로 의제가 확산했다.
앞서 이달 1일 본격적으로 시작한 이라크 반정부 시위는 갈수록 격화, 대규모 사상자를 내고 있다. 이라크 시위대도 실업난과 공공 서비스 부족에 대한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29일(바그다드 현지시간) 하루만 경찰 발포로 18명이 숨졌다는 보고가 나오는 등 현재까지 파악된 사망자만 약 250명에 이르는 등 유혈 시위로 점철되고 있다.
이집트에서는 지난달 압델 파타 엘시시(압둘팟타흐 시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이례적으로 발생했다. 권위주의 통치를 펼치는 시시 대통령 정부가 소셜미디어를 제한하고 경찰력을 대거 배치해 시위를 원천 차단했지만 수도 카이로와 북부 항구도시 알렉산드리아 등에서 산발적으로 집회가 이어졌다.
이들 3개국 시위의 공통점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실업난 등 생활에 대한 누적된 불만이 폭발했다는 것이다. 여기에 민생고를 해결하지 않고 권력을 독점하며 부를 불리는 정치권의 부패도 청년층의 분노에 기름을 부었다.
아랍권의 연쇄 시위는 8년 전 중동권을 휩쓴 '아랍의 봄'을 연상시켜, '신(新) 아랍의 봄'이나 '아랍의 봄 2.0'이 될지 국제사회가 주목하고 있다. 현재까지 이번 중동 시위는 청년층이 주축이며, 정치·종파 갈등보다는 민생에 초점이 맞춰졌다는 점에서 2011년 아랍의 봄과는 일부 차이를 보인다.
서방 역시 2011년 아랍의 봄이 내전이나 쿠데타 등으로 귀결된 '학습효과'에 따라 시위대와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현재 벌어지고 있는 중동 시위가 제2의 아랍의 봄으로 전개될지 예단하기는 힘들지만 중동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는 반정부시위는 2011년 민중봉기가 미완으로 끝났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징표로 볼 수 있다고 외신은 분석했다.
영국의 BBC는 아랍 민중이 권위주의 통치자에 압제에 저항했지만 자유를 쟁취하지 못했고, 사회 문제도 그대로이거나 더 악화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분노와 좌절감은 언제든 대규모 시위로 표출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지석 선임기자 jiseok@imaeil.com·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