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사태 책임론 등 불식시키려는 시진핑 절대권력 강화 움직임...사회 저변 반발·냉소 움직임도 나타나
중국 농민 량(梁)모씨는 지난 8월 50여명이 참여한 단체 대화방에 비료가 정량보다 적게 들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량씨는 공안에 적발돼 2개월이 지난 최근에 허위 사실 유포로 공공질서를 어지럽혔다며 8일간의 유치장 구류 처분을 받았다.
중국에서는 이전에도 상품과 관련된 문제를 제기했다가 거꾸로 공공질서를 어지럽혔다며 처벌 받는 일이 있었지만 최근에 중국 정부는 량씨의 사례를 포함해 사회적 통제의 고삐를 더욱 죄고 있다. 온라인 검열을 강화하고 언론 통제도 더해지고 있으며 시진핑 국가주석의 사상 전파에 더욱 열을 올리고 있다. 마치 과거의 마오쩌둥 통치 시대로 되돌아간 듯한 모습이다.
사회적 통제가 강화된 배경에는 시 주석이 미·중 무역협상 실패와 홍콩 시위 사태 등으로 책임론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오히려 반대파를 누르고 절대적 권력 기반을 더욱 다지려 하는 의도가 깃든 것으로 풀이된다. 때마침 28일부터 31일까지 열리는 제19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4중전회)가 시진핑의 절대 권력과 권위 유지에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여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잘못된 투자 정보를 제공하거나 증권 사기에 연루된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의 37개 계정을 관련 법률에 따라 중단하거나 폐쇄했다고 밝혔다. 위챗(微信·중국판 카카오톡)도 올해 초부터 지난달까지 불법 계정 4만5천여 개를 폐쇄하거나 중단시켰다.
사기성 콘텐츠이거나 투자자를 오도했다는 등이 폐쇄나 중단의 이유이지만, 소셜미디어나 온라인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한 통제를 부쩍 강화하는 흐름을 읽을 수 있다. 이달 초 중국 정부는 온라인 여행사들에 고객이 올린 글, 사진, 동영상 등과 관련해 자체 검열을 강화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 등을 담은 42개 규제 강화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또 국내 주요 신문과 TV에서 편집업무에 관여하는 기자들을 대상으로 '시진핑 사상'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시험을 실시해 합격하지 못하면 기자증을 발급받지 못하도록 했다. 4중전회 개막 직전에는 시진핑 주석의 핵심 사상을 담은 책자가 전국에 배포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에 반발하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농민 량씨가 구류 처분을 받자 같은 마을 주민 20여명은 해당 비료 회사 앞으로 가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이 사건은 웨이보에서 급속히 퍼지고 있다.한 누리꾼은 "절대로 단체 대화방에서 비료량이 적다고 말하면 안 된다"고 비꼬아 말하기도 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한 중국인 기자는 "당과 정부의 압박이 서서히 강화되고 있다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김지석 선임기자 jiseok@imaeil.com·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