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여성 취업자 증가율 30-50클럽 1위…35∼44세 고용률은 최저

입력 2019-10-21 16:22:04

한경연 "유연근무제 활성화ㆍ여성 고용유지기업 지원 확대 필요"

한국의 여성 고용지표가 최근 10년간 꾸준히 개선됐지만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등은 선진국과 큰 격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08년부터 2018년까지 '30-50클럽' 7개국의 여성 고용지표 6개를 분석한 결과 생산가능인구수와 경제활동참가율, 취업자수, 고용률 등 4개는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고 21일 밝혔다. 30-50클럽은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 인구 5천만명 이상인 국가로 미국과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한국 등 7개국이다.

지난 10년간 여성 생산가능인구 증가율은 한국이 13.9% 증가해 가장 높았다. 취업자 수 증가율도 한국이 12.7%로 독일(10.2%)과 영국(8.8%) 등을 앞섰다. 다만 한국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08년 54.8%에서 지난해 59.4%로 개선됐지만 상위 5개국보다 크게 낮았다.

고용률 역시 한국은 지난해 57.2%로 10년 전보다 3.9%포인트 높아졌지만 7개국 중 6위에 그쳤다. 지난해 고용률 1위인 독일(72.1%)과 격차는 14.9%포인트 차이를 보였고, 5위인 프랑스(62.5%)보다 5.3%포인트 낮았다.

지난해 기준으로 7개국의 여성 고용률을 연령대별로 보면 대체로 20∼40대까지 증가하다가 50대 이후에 낮아졌지만 한국은 30대 여성들이 노동시장에서 대거 퇴장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지난해 한국의 35∼39세, 40∼44세 여성 고용률은 각각 59.2%, 62.2%로 7개국 중 가장 낮았다. 한경연은 30대 후반에서 40대 전반 여성의 급격한 고용률 감소는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로 이어져 장기간 해결되지 못한 채 지속했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