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뜩이나 운영 문제로 내부 갈등이 끊이지 않는 한국패션산업연구원(패션연)이 공석 중인 원장 선임을 둘러싼 논란까지 불거져 시끄럽다. 특히 예산을 지원하는 정부와 대구시·경북도가 당연직 이사를 맡고 있지만 정작 관련 회의에는 참석조차 않는 바람에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회의 자체가 무산되는 등 당연직 이사의 할 일을 방기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대구시와 경북도의 회의 불참과 계속된 무관심은 깊이 짚어볼 문제다.
일찍부터 섬유산업이 앞섰던 대구경북에 걸맞은 패션산업디자인 발전을 위해 패션연이 설립됐고, 벌써 내년이면 10년 세월이다. 그동안 내부 비리 등으로 내홍을 겪던 패션연은 올 들어서 2월 이사장 사퇴, 4월 원장 사퇴로 바람 잘 날이 없을 만큼 어수선했다. 다행히 이사장은 대행 체제로 꾸렸지만, 원장은 지난 7월부터 공모에 들어간 뒤 지금껏 다섯 차례나 열린 원장추천위원회(원추위) 회의에도 여전히 마무리를 짓지 못하고 삐걱거리고 있다.
바로 당연직 이사를 맡고 있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산업정책관과 대구시 경제국장, 경북도 일자리경제산업실장의 회의 불참 탓이다. 9명의 원추위 위원 가운데 3분의 2(6명) 이상의 참석이 이뤄져야 회의가 열리는데, 이들이 오지 않으니 회의조차 무산되기 일쑤다. 사정이 이런 만큼 당연직 이사로서 패션연의 운영 파행과 내부 문제 등에 견제나 제지 등과 같은 기대는 아예 접을 수밖에 없다.
패션연의 사업은 대부분 정부나 대구시·경북도에서 예산을 책정, 지원하는 일로 채워지는 형편이다. 즉 국민 세금이 들어가는 사업인 셈이다. 당연히 정부와 대구시·경북도는 이사로서 각종 회의 참석을 통한 의견 전달과 원장 선임 절차 진행 등의 역할이 절실하다. 이런데도 잦은 회의 불참으로 일을 망치니 이는 직무 유기나 다름없다. 특히 대구시와 경북도는 더욱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패션연은 서둘러 정관을 바꿔서라도, 지금처럼 무책임한 회의 불참을 막을 수 있는 개선 조치를 마련하는 게 맞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