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아세안+3·APEC 회의…양국 대화 관계 변화 가능성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다음 달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정상회담을 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앞서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19일 한국 정부가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각에서는 24일로 예정된 이낙연 국무총리와 아베 총리의 면담을 계기로 양국 대화의 물꼬가 트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흘러나온다. 이번 면담이 한일정상회담까지 이어지는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는 것이다.
정·관계의 대표적인 '지일파'로 분류되는 이 총리에게 사실상의 특사 역할이 주어진 만큼 성과를 기대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청와대도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다. 앞서 이 총리는 교도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친서를 보내는 것이 좋겠지요'라고 말해 자신이 '네 써주십시오'라고 답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국정 2인자가 '친서' 자체를 사전에 언급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다. 청와대는 대통령 전용의 공군 1호기도 내주었다. 한일 간 더 이상의 사태 악화를 막는 소극적 차원을 넘어 정상회담으로 가는 징검다리 역할을 이 총리에게 기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때 맞춰 11월엔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태국, 10월 31일∼11월 4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칠레, 11월 16∼17일) 등이 줄줄이 예정돼 있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참석이 예상된다는 점에서 이 총리가 아베 총리와의 면담을 통해 일본의 변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관계 개선의 여지를 넓히는 게 관건이다.
이 총리는 지난 18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비공개로 만나 한일 관계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일본 경제계와의 만남을 앞두고 사전 정지 작업을 했음직하다. 방일 일정 중엔 '일본 젊은이와의 대화', 한일문화교류 현장 방문 등이 눈에 띈다. 현 국면을 바꿔보기 위한 전방위적 행보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총리실 안팎에선 이 총리 혼자만의 힘으론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인 만큼 지나친 낙관론 보다 차분히 지켜봐야 한다는 기류도 엿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