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토) 오후 5시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
대구시 무형문화재 제9호 살풀이춤 예능보유자인 권명화 명인이 제자들과 함께 '70년 춤 인생' 무대를 펼친다.
대구문화예술회관은 26일(토) 오후 5시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에서 특별 기획공연 '권명화 명무전'을 마련한다. 이번 명무전은 '대를 잇는 춤의 맥'이라는 주제로 전통 춤의 명맥을 꿋꿋이 이어온 권명화 명인의 70년 춤 인생을 뒤돌아보고, 그의 춤을 이어가고 있는 제자들과 자신의 딸 그리고 손녀와 함께 하는 '특별무대다.
1934년 김천의 세습 무가에서 태어난 권명화는 10대에 한국전통 춤에 입문해 스승 박지홍으로부터 살풀이춤, 승무, 입춤, 검무 등을 배웠다. 권명화는 1995년 대구시 무형문화재 제9호 살풀이춤 예능보유자로 지정받았으며, 현재 대동권번의 마지막 세대로서 자신이 교육받던 권번의 모습과 훈련방식 그대로 매주 서울과 대구를 오가며 많은 제자들을 양성하고 있다.
명무전 첫 무대는 대동권번에서 이어온 권명화류의 '입춤'으로 막을 올린다. 입춤은 한국 춤의 기본과 참 모습이 그대로 배어 있으며 춤을 추는 사람들에게 기본기를 다지는 중요한 춤이다. 이어 인간사에서 겪게 되는 희로애락이 담긴 일상생활의 감정을 표현하고 영원의 한을 춤으로 풀어내는 그녀만의 독특한 살풀이를 통해 다른 지역의 살풀이와는 또 다른 경지를 보여준다. 이 무대는 권명화 명인과 그녀의 딸인 조은희 전수교육조교가 함께 한다.

세 번째는, 스승 박지홍에게 사사받은 '검무'를 권명화가 새롭게 해석해 무대에 올리고, 네 번째는 어머니이자 스승의 춤을 가장 잘 이은 것으로 평가받는 조은희의 '승무' 독무가 펼쳐진다.
후반부에는 권명화 명인을 대표하는 춤 중 하나인 '고풀이춤'을 선보인다. 이 작품은 살풀이춤의 가장 큰 특징인 고를 매었다가 풀어주는 고풀이만을 안무로 재구성한 춤이다. 살풀이춤에서 사용되는 수건의 길이보다 더 긴 수건을 사용하며, 장단의 변화로 다양한 동작을 볼 수 있다.
마지막 무대는 권명화 명인과 제자들이 함께하는 '소고춤'을 선보인다. 농악으로부터 유래된 민속무용으로 옛날 농촌마을의 생활동작을 춤으로 형상화한 춤이다. 특히, 흥을 맞춰주는 구음은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4호 판소리 흥보가 예능보유자인 정순임 명창이 권명화의 명무와 함께 한다.
제자들의 무대 구음은 권명화 명인이 직접 맡는다. 장구에 이경섭(경주시립신라고취대예술감독), 아쟁은 윤서경(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부수석), 대금에 이영섭(영대학교 음악과 교수), 피리·대평소는 이호진(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단원), 타악에 공성재(대구시립국악단 수석) 등이 춤꾼들의 몸짓에 흥을 더해준다. 또한 제자인 장유경 계명대 교수가 공연의 총 연출을 맡는다. 티켓 전석 10,000원. 문의 053)606-6135.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