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투쟁에 한국당 곳간 '텅'…'총선 실탄' 걱정 태산

입력 2019-10-18 16:23:53 수정 2019-10-18 20:05:36

지방선거 당선자 줄어 지방 당비 '뚝'…'조국 장외투쟁' 회당 수천만원 지출
돌발상항 지출로 빈곤 악순환…당사 임차료·당직자 월급 한숨

지난달 28일 오후 동대구역 광장에서 열린
지난달 28일 오후 동대구역 광장에서 열린 '대구·경북권 문재인 정권 헌정 유린 중단과 위선자 조국 파면 촉구 투쟁' 집회에 참석한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대구경북 국회의원들이 촛불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자유한국당이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다. 제1당 야당의 위상과는 달리 곳간이 텅 비어 있어, 큰 덩치를 움직이기가 여간 부담스런 상황이 아니다.

한국당 중앙당 당직자는 최근 "현재 중앙당 금고는 거의 바닥 상태"라며 "앞으로 어떻게 선거를 치를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한국당의 궁핍은 지난 지방선거 때 이미 예견됐다. 기초·광역 단체장·의원들이 크게 줄어들면서 1인당 매월 수십 만원씩 할당되던 지방 당비 수입이 줄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6회 지방선거(2014년)에서 한국당 전신인 새누리당은 지역구 기초의원만 1천206명을 당선시켰다. 하지만 지난해 치러진 7회 지방선거에서는 876명으로 크게 줄었다.

광역의원 상황도 마찬가지였다. 6회 선거에서 375명에 달했던 지역구 광역의원 수는 7회에선 113명으로 쪼그라들었다.

여기에 일반당원 당비도 2천원에서 1천원으로 내리면서 당비 수입마저 열악해졌다. 특히 탄핵 사태를 겪으면서 당원 이탈 현상이 늘어났다. 당비 내는 책임 당원들은 빠져나가는데 기존 당비는 반으로 줄어든 셈이다.

이 같은 사정에도 한국당은 최근 장외투쟁을 이어가면서 적지 않은 당비를 사용하고 있다. 수입은 낮아진 대신 지출이 크게 늘어나면서 잔고는 바닥을 보이고 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규탄을 위해 한국당은 그동안 수차례 장외투쟁을 진행했다. 한 번에 수천만원이 지원돼 '빈곤의 악순환'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고심 끝에 한국당은 최근 중앙당 후원회와 재정위원회를 본격 가동하는 등 재원 마련에 나섰으나 곳간을 채울 수 있을 지는 미지수.

한국당은 지난 10일 김철수 양지병원 이사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당 재정위원회 위원 84명을 임명했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재정 역량을 강화하고자 당 운영 자금을 관리하는 재정위를 재정비한 것이다.

지난 5월 말 개설한 중앙당후원회는 최근 후원자 수가 3천 명도 안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여파로 다른 정당에 비해 개설이 늦기도 했으나 선뜻 야당에 지원해 줄 인사가 많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한국당 관계자는 "섣불리 우리 당에 후원했다가 여권의 눈 밖에라도 나면 세무조사 등 혹독히 치를 대가 때문에 후원자들이 목돈 내놓길 꺼리는 분위기"라고 귀띔했다.

급한대로 한국당은 오는 11월 받는 국고보조금에 의지할 생각이지만 기대만큼 크지 않은 금액이라 고민이다. 한국당이 받을 수 있는 보조금은 30여억원 정도. 한국당에 비해 의원 수가 3분의 1 밖에 안되는 바른미래당의 25억원과 큰 차이가 없다. 이 돈은 당사 임대료와 당직자들 월급 등에 우선 투입될 예정으로 총선 비용을 채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결국 내년 총선에서 한국당 후보들은 대부분 중앙당 지원 없이 선거를 치러야 할 형편이다. 물론 다가오는 대선에서도 '펀드' 조성 등 특별한 대책이 세워지지 않는 한 '생활고'를 벗어나기는 어려워 보인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