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이천동 고미술 거리, 재개발로 사라질 위기

입력 2019-10-16 16:52:02 수정 2019-10-17 08:06:26

재개발 부지가 고미술 거리 일부분 포함, 내몰리는 상인들 "결국 모두 떠나게 될 것 "

대구 남구 이천동 고미술거리의 한 상점 앞에 대규모 주택 재개발에 따른 고미술거리 보존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현수막이 붙어있다. 재개발 사업으로 문화재 매매업소 15곳이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상인들은 남구청에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이주형 기자
대구 남구 이천동 고미술거리의 한 상점 앞에 대규모 주택 재개발에 따른 고미술거리 보존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현수막이 붙어있다. 재개발 사업으로 문화재 매매업소 15곳이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상인들은 남구청에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이주형 기자

대구 남구 이천동 고미술거리 인근에 대규모 주택 재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고미술품 상인들이 거리로 내몰릴 위기에 처했다.

남구청은 특화거리·도시정비사업을 진행하며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지만 정작 고미술 거리의 명맥이 끊길 위기 상황에서는 손을 놓고 있다.

남구청은 2017년부터 31억여원을 투입해 테마거리 조성, 간판 개선 등 관광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천동 일대 도시재생을 목적으로 기반시설조성에 투입한 예산만 2014년부터 현재까지 135억2천만원에 달한다.

그러나 이천동 문화지구 주택 재개발사업이 급물살을 타면서 고미술거리 문화재 매매업자들 상당수가 이곳을 떠나야 할 상황이다. 고미술거리 내 상점 50여 곳 중 15곳 이상이 재개발 부지 안에 있기 때문.

세입자가 대부분인 이들은 건물주의 이주 지시에 따를 수밖에 없다. 이곳에는 3만8천700㎡ 택지에 911가구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현재 조합은 마무리 보상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남구청은 내년 초까지는 재개발지역 이주고시를 완료하고 철거에 들어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5일 오후 고미술거리 상점 과반수가 문을 열지 않았다. 곳곳에는 '이천문화지구 보존', '전통문화 집단시설 지구 마련하라' 등의 현수막이 붙어 있었다.

상인 A(63) 씨는 "6개월 이상 구청에 민원을 넣어도 방법이 없다"며 "문화재 매매업은 한 곳에 모여 있어야 영업에 유리한데 대구는 고미술 거리가 이곳뿐이라 옮겨갈 대안이 없다"고 한숨을 쉬었다.

B(65) 씨는 "조합 측은 이주비 300만~500만원, 사업자등록 상인에 한해서 1천만원을 보상해주겠다고 하는데, 이 금액으로는 이사할 점포를 얻을 수 없다"며 "더구나 고미술 특성상 특수 포장이 필요해 이사비만 700만~800만원이 든다"고 했다.

상인들은 앞으로 심화할 젠트리피케이션 현상도 걱정이다. 명례방고미술 허인 대표는 "이천동 고미술 거리는 경상도뿐 아니라 전라·충청도에서도 찾아올 만큼 전국적인 인지도를 갖고 있다"며 "하지만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 임대료가 상승해 결국 고미술 가게는 내쫓기고 다른 업종으로 바뀔 것"이라고 한탄했다.

남구청 관계자는 "문화지구는 지난 2008년 추진위가 생기면서 지속적으로 재개발 논의가 진행됐던 곳으로, 건물주와 세입자 간에 해결해야 할 문제"라며 "구청이 직접 대체지를 마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했다.

※이천동 고미술 거리=1960년대 조성된 고미술품 매매업소 밀집 지역. 남구청은 지난 2008년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이곳을 고미술 특화거리로 조성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