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자율주행차 실증 사업 탄력…"공모 사업 적극 참여"

입력 2019-10-15 18:09:55 수정 2019-10-15 21:18:40

2027년이면 전국 도로에서 자율주행차 만난다…'미래차 산업 발전전략' 발표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후 경기도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차산업 국가비전 선포식이 끝난 뒤 수소 청소트럭 관련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후 경기도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차산업 국가비전 선포식이 끝난 뒤 수소 청소트럭 관련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2027년에는 스스로 안전하게 운전하는 자동차를 전국 주요 도로에서 만날 수 있게 된다. 또 2030년이면 국내서 판매되는 신차 3대 중 1대가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차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15일 미래자동차 비전 선포식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향후 10년간 추진할 '미래차 3대 추진전략'으로 ▷친환경차 기술력과 국내 보급 가속화를 통한 세계시장 적극 공략 ▷2024년까지 완전자율주행 제도·인프라(주요도로) 세계 최초 완비 ▷민간투자(60조원) 기반 개방형 미래차 생태계로 신속 전환 등을 제시했다.

우선 2030년까지 국내 신차에서 친환경차 비중을 33%로 높이고, 세계시장 점유율을 10%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올해 전기·수소차의 국내 판매 비중은 2.6%다. 수소충전소는 2030년까지 660기를 구축해 주요 도시에서 20분 내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전기충전기는 2025년까지 1만5천기를 갖출 계획이다.

운전자 개입이 필요없는 완전자율주행(레벨4)의 상용화 시점은 기존 2030년에서 2027년으로 3년 앞당긴다. 자율주행 서비스도 확대해 민간에선 자율셔틀·자율택시·화물차 군집주행 등을, 공공부문에선 장애인 등 교통약자 이동지원, 자율주행 무인순찰 등 9대 서비스를 실시한다. 새로운 교통서비스인 플라잉카(flyingcar)는 2025년까지 실증·시범사업이 가능한 단계까지 실용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미래 신산업으로 추진해온 전기차 기반의 자율주행차 실증도시 조성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했다. 시는 2021년까지 실제 도로 기반의 자율주행차 실증평가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또 내년까지 477억원을 투입, 5세대 이동통신(5G) 기반의 사물·차량 통신 및 자율주행서비스 개발 및 실증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정부가 추진해온 1조7천억원 규모의 미래형자율주행차 연구개발 기반 조성 및 부품산업 육성 사업에도 참여할 방침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내년 5월부터 시행되는 자율주행자동차법에 따라 시범운행지구에 지정되면 다양한 부품 성능시험과 신기술을 시험할 수 있게 된다"며 "지금까지 구축한 자율차 실증인프라를 바탕으로 정부 공모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