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청정에너지' 사업 추진 위기…한전, SPC 지분 매각키로

입력 2019-10-14 17:08:49 수정 2019-10-14 19:41:48

인수자 찾는 중…대구시 "한전 자회사 통해 생산 전력 구입하기로…사업 정상 추진"

한전대구청정에너지(주)가 추진 중인 대구 달성군 테크노폴리스 연료전지 발전소 예정지 . 매일신문DB
한전대구청정에너지(주)가 추진 중인 대구 달성군 테크노폴리스 연료전지 발전소 예정지 . 매일신문DB

민자로 추진되고 있는 '한전대구청정에너지㈜'(이하 대구청정에너지) 사업에서 한국전력이 지분 매각을 결정, 사업 추진이 위기에 놓였다.

한전을 비롯해 LG CNS, 대성에너지, 화성산업은 2017년 2월 특수목적법인(SPC) 대구청정에너지를 설립하고 대구 달성군 테크노폴리스에 60MW급 연료전지 발전시설 구축을 추진했지만 아직 착공도 하지 못했다.

핵심 설비인 연료전지를 공급하기로 한 포스코에너지가 출력 부족 등을 이유로 2년간 시스템 공급을 미뤘고, 애초 논의된 가격보다 높은 장기유지 보수를 요구하면서다. 구축 뒤에도 생산한 신재생에너지를 팔 수 있는 신재생공급인증서(REC)를 가진 사업자가 없다는 점도 문제가 됐다.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하자 그동안 사업을 주도해 온 한전이 지분을 전량 매각키로 하면서 사업은 정상 추진 자체가 불투명하게 됐다.

대구청정에너지 관계자는 "지난달 한전에서 SPC 지분을 매각하겠다고 했고 현재 매각 비용을 산정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LG CNS도 현장 건설 전반을 SK건설이 맡으면서 사업 여지가 많이 줄어 재검토 여지가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한전 지분을 신재생공급인증서(REC)를 가진 사업자가 인수한다면 문제가 됐던 전력 판매 부분을 해결할 수 있어 오히려 사업 추진이 빨라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대구시는 사업 정상 추진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앞서 대구청정에너지 사업에 맞춰 테크노폴리스에 100MW 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한전에서 지분을 매각하는 대신 향후 생산될 신재생에너지는 자회사를 통해 구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여전히 장기유지 보수 비용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지만 사업은 정상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며 "SPC를 재구성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14일 국감에서도 포스코에너지의 유지보수 비용 인상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규환 의원(자유한국당)은 포스코에너지가 그동안 연료전지 개발을 위해 440억원의 정부보조금을 받고도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올려받고 있어 국내 연료전지산업이 줄도산 위기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