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은 부시장이 두 명?…정책특보 전시성 행보 논란

입력 2019-10-10 17:14:58 수정 2019-10-10 20:24:38

시장 대신해 각종 행사 축사…기존 부시장 역할 중첩 지적
市 "부득이한 경우만 참석"

경북 포항시에는 부시장(2급)이 두명 있다?

포항시청 전경. 매일신문DB
포항시청 전경. 매일신문DB

최근 포항 공직사회 뿐만 아니라 상공계 등 각계각층에서 "포항부시장이 두명이냐"는 비아냥 섞인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이는 이재춘 정책특보(3급)의 전시성 행보에 대한 지역사회의 곱지 않은 시선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포항시는 지난 7월 시장의 정책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기존의 정무특보 대신 '정책특보'를 신설하고 경북관광공사 사장 대행을 역임한 이재춘 전 포항부시장을 임명했다.

하지만 이 특보는 취임 후 본연의 임무인 포항시 정책 개발과 다양한 민원에 대한 갈등조정 등의 역할보다는 포항시 각종 행사에 시장을 대신해 참석, 축사를 하는 등 행사에 치우쳐 기존의 포항부시장 역할과 중첩되는 행보를 보여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공무원들은 현재 포항시의 경우 생활폐기물 에너지화(SRF) 시설 문제, 양학공원 주민갈등, 해병대헬기장 격납고 민원, 자이아파트 장례식장문제 등 민원이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주민갈등 봉합을 위한 대처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따라서 정책특보는 이같은 현안 문제에 대한 갈등 조정 역할을 하고, 포항시 미래를 위한 과제를 발굴하는 등 본연의 업무에 충실해야 함에도 행사장에서 축사나 인사말을 하는 데만 치중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는 의견이다.

또 포항시도 정책특보를 행사장으로 내몰 것이 아니라 실질적 업무를 뒷받침 하도록 직원보강 등 조직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손발을 만들어 주는 것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기존 정무특보는 정치적인 문제가 우선하는 정무적 기능이 앞섰지만, 현재의 정책특보는 시정 정책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신설한 자리이기 때문이다.

포항지역 시민사회단체 한 관계자는 "행사장 마다 정책특보가 참석해 인사말을 하는 광경을 자주 목격한다"면서 "이는 정책특보가 할 일이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포항시 관계자는 "정책특보가 현안인 SRF시설 문제를 비롯해 각종 민원 해결을 위해 담당 부서와 머리를 맞대고 노력하고 있다"면서 "행사장은 시장을 대신해 부득이한 경우 참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