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 사후관리 비상…2030년 이전 저장 용량 초과

입력 2019-10-08 17:09:58 수정 2019-10-08 20:21:55

경주 월성원전 사용후 핵연료 저장공간 추가건립 및 경주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2단계 처분건설사업 표류

월성원전 전경. 매일신문 DB
월성원전 전경. 매일신문 DB

2030년까지 운영기간이 만료되는 국내 원자력발전소 10기 가운데 7기의 '사용 후 핵연료(고준위방사성폐기물)' 저장공간이 부족하고, 경주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2단계 처분시설 건설사업이 수년째 표류하는 등 원전 사후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경주 월성원전(1호기 조기폐쇄·2~4호기)은 중저준위방폐물처분장이 2년 내 완전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보이지만, 지역내 갈등으로 이 방폐물을 보관할 임시저장시설 추가건립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7일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개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6월말 현재 '국내 사용후 핵연료 저장현황'은 저장용량 52만8천716다발 중 47만6천729다발로 90.2% 수준으로 나타났다.

경수로의 경우 저장량이 1만8천789다발로 저장용량(2만6천804다발)의 70.1% 수준인 반면, 경주 월성원전(2~4호기)처럼 중수로의 경우 45만7천940다발로 저장용량(50만1천912다발)의 91.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성원전 사용후핵연료 저장소는 2021년 11월 이전 포화가 예상되기 때문에 원전내 임시저장소(맥스터 7기)를 정상적으로 준공하기 위해서는 올 연말 착공이 이뤄져야 한다는 게 한국수력원자력 측의 설명이다.

월성원전을 포함해 오는 2030년까지 운영기간이 만료되는 원전 10기 가운데 운영기간 만료 이전에 사용후핵연료 저장용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은 고리 3·4호기와 한울 1·2호기 등 모두 7기다.

현재 포화상태에 따른 임시저장소 증설, 고준위 방폐장 건설 등 사용후핵연료 관리는 산업통상자원부 주도로,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가 구성돼 논의 중이다.

또 당초 2016년 12월 완공 예정이었던 경주 중저준위방폐장 2단계 처분시설은 본공사도 착수하지 못하고 있다고 어기구 민주당 국회의원이 7일 밝혔다.

이개호 의원은 "운영기간은 남아 있는데 사용후핵연료 발생이 저장용량을 초과할 경우 운영을 어떻게 할 것인지 원자력안전위위원회가 분명한 입장과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