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니차(摩尼車)는 티베트 불교에서 주로 쓰이는 불교 도구다. 경통(經筒) 또는 '기도바퀴'라고 불리는데 티베트 사람들은 마니차를 한 번 돌리면 죄업이 하나씩 사라지고 몸으로 수행하는 것과 같다고 여긴다. 티베트 영상물을 보면 마니차를 돌리는 사람들의 모습이 빠지지 않는데 손에 쥐고 돌리는 마니차부터 사원에 세워진 대형 마니차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주로 원통형 금속으로 만드는데 다각형의 마니차도 있다. 표면에 만트라(眞言)를 새겨넣고 내부에는 두루마리 경전을 넣어 일상에서 늘 가까이 하는 법구다.
이런 티베트 불교문화는 원나라가 들어선 13세기부터 한국 불교문화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특히 불교 건축물이나 공예품에 독특한 채색과 문양을 더한 장엄구(莊嚴具)와 법구류에 중국의 형식과는 다른 티베트·몽골적 요소가 우세해진다. '탕카'(Thangka)로 불리는 탱화가 대표적으로 괘불이나 윤장대도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은 사례 중 하나다.
몽골학 전문가들은 '원사' 등 역사 기록을 들어 원나라의 수도인 대도(大都) 인구의 절반이 고려인이었다는 내용을 부각한다. 당시 '몽골풍' '고려양'이라는 말이 유행한 것도 두 나라의 교류가 그만큼 활발했고 불교문화도 예외가 아니었음을 증거한다는 것이다.
문화재청이 그제 보물 145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보물 684호 용문사 윤장대(輪藏臺)를 묶어 국보로 지정 예고했다. 1173년(고려 명종 3년)에 만들어진 이 윤장대는 1670년(현종 11년)에 수리한 기록이 남아 있는 국내 유일의 전륜장(轉輪藏)이다. 높이 420㎝의 팔각형 불경 보관장으로 대장전 내부 좌우에 1구씩 놓여 있는데 글을 모르는 이들이 윤장대를 한 번 돌리면 경전을 한 번 읽은 것과 같은 공덕을 쌓는 것과 같다.
옛 기록에 개경(개성) 승천사나 파주 혜음사, 옥천 지륵사, 화순 쌍봉사 등에 윤장대가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남아 전하는 곳은 용문사 윤장대뿐이다. 강화 전등사나 논산 관촉사, 진천 보탑사에도 윤장대가 있지만 모두 용문사 것을 본떠 만든 최근의 것이다. 화려하고 정교한 무늬로 장엄한 용문사 윤장대와 대장전은 천년지장(千年之藏)이라는 점에서 잘 보존해 후대에 전하는 소임이 막중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