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부자보고서'…부자들 "금융보다 부동산이 유망, 올해는 투자 확대보다 유지"
연평균 소득 2억2천만원·저축 여력 6천600만원
금융 자산 10억원이 넘는 '부자'가 지난해 말 기준 전국에 32만3천명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들 가구의 연간 소득은 평균 2억2천만원으로 일반 가구(5천700만원)의 3.9배 수준이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29일 발표한 '2019 한국 부자 보고서'(400명 설문조사)에 따르면 2018년 한국의 금융 자산 10억원 이상 부자는 전년보다 4.4% 늘어났다. 하지만 증가율은 둔화됐다. 부자는 2014년엔 23만7천명, 2015년 25만4천명(전년 대비 7.0%↑), 2016년 27만1천명(6.6%↑), 2017년 31만명(14.4%↑)으로 늘어나다가 지난해 주춤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이 서울(14만5천명), 경기도(7만1천명), 인천(1만명) 등 69.6%를 차지했다. 부산(2만4천명), 대구(1만5천명), 경남(1만명)이 뒤를 이었다. 서울 안에서는 46.6%가 서초·강남·송파구 등 '강남 3구'에 거주했다.
부자들의 자산은 부동산 53.7%, 금융 39.9%의 비중으로 구성됐다. 금융자산 비중은 5년 만에 40% 아래로 떨어졌다. 작년 주요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급등한 반면 주가는 떨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부자 가구가 주거, 교육, 여가·취미 등 순수 생활비로 쓰는 소비지출액은 월평균 1천40만원으로 일반 가구(254만원)의 4배 수준이다. 연간 저축여력(연 소득에서 생활비, 세금, 3대 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은 평균 6천62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한국에서 부자라면 얼마 정도의 자산을 갖고 있어야 할까'라는 질문에 평균 67억원을 꼽았다.
부자들은 장기적으로 금융 자산보다 부동산 자산에 투자하는 게 유망하다고 내다봤다. 유망 투자처로는 빌딩·상가, 거주 외 주택, 거주 주택의 순서로 꼽았다. 올해 자산운용 계획에 대해선 투자를 늘리기보다는 유지하겠다는 답변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자산을 축적할 수 있었던 핵심 원천으로는 '사업소득'(47.0%)과 '부동산 투자'(21.5%)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가 가장 많았다. 이들에게 '지금 세금을 내더라도 자산을 증여하겠냐'고 물었더니 38.3%가 '그렇다'고 답해 '아니다'(19.8%)보다 많았다. '반반'이라는 답변은 34.0%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