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인사들에게서 모처럼 '활기'를 본다. 말이 많아졌고, 목소리도 예전에 없던 힘이 들어간다. '조국 정국'이 바꿔 놓은 변화다.
조국 법무부 장관을 둘러싼 의혹을 사실로 확정하며 그를 '위선자'로, 그를 두둔하는 여당과 청와대를 질책하는 재미로 하루를 보낸다는 인사도 있다.
당원 A씨는 여권 인사의 조 장관 옹호 발언, 검찰 비판 말을 들을 땐 화가 나지만 받아칠 말이 있고 맞장구쳐주는 주변 사람들이 있어 즐겁다고 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서 보수 진영에 등 돌렸던 언론이 '우리 편'이 된 듯하고 불공정과 불법, 비리 등 기득권의 적폐 청산을 내세우며 '개혁과 공정성, 도덕성'의 깃발을 든 진보 진영의 실상이 조국 사태로 그 민낯이 까발려지는 것 같아 통쾌함을 느낀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무기력한 당 모습에 정치 이야기는 입 밖에도 꺼내지 않던 그였다.
한국당은 '조국' 하나만 보고 가고 있다. 조 장관 임명에 삭발·1인 시위 릴레이로 모은 당심을 정기국회에 쏟아부을 태세다. 국정감사를 '조국 청문회 2라운드'로 끌고가겠다는 선언도 했다.
한국당으로선 청와대가 점화한 조국 사태는 더할 나위 없는 좋은 건수다. 21대 총선을 6개월여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이만한 선거운동도 없다.
그런데 민심은 '꿈에서 깨라'고 한다.
청와대가 조 장관 임명을 강행하고, 여당은 이를 비호하기 위해 비상식적 발언과 행동을 일삼아 싫으나 한국당도 아니란다.
칸타코리아가 SBS 의뢰로 이달 9~11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어느 정당도 지지하지 않는다'는 무당층이 38.5%로 한 달 사이 3.7%포인트 증가한 반면 한국당 지지율은 18.8%로 사실상 제자리걸음이었다는 게 그 방증이다.
무당층은 정치적 무관심층이 아니다. 다만 지금은 '지지할 정당이 없다'는 정치 참여 행동파다. 이들은 기성정당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당이 마냥 좋아할 일은 아니다.
무당층 B씨는 "자주 가는 식당에 문제가 생겨 실망했다고 해서 맛 없고 먹을 것 없는 식당의 단골이 될 수는 없지 않느냐"고 했다.
B씨 말대로 한국당은 탄핵이 휩쓴 식당을 정리하지도, 손님 입맛을 끌 신메뉴 개발도 하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의 경제 파탄, 패스트트랙 파동, 외교 실패, 북한 어선 삼척항 입항 등 많은 호재에도 한국당은 지지율을 끌어올리지 못했다. 인재 영입은 전무했고, 당과 보수 재건을 위해 희생하겠다는 인사도 한 명 없었다. 격 없는 막말 퍼레이드로 되레 비난을 받고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7월에 있은 여론조사서 한국당의 비호감 지수는 65%에 달했다.
인적 쇄신을 이룰 공천룰, 선거 구도를 좌우할 수 있는 보수 대통합 문제, 공직선거법 개정안 처리 문제 등 총선 과제가 발 앞에 놓여 있는데도 옆 식당에 문제 있다고 고함만 친다.
삭발로, 장외집회 참석으로 공천 충성도를 체크해선 혁신, 인적 쇄신은 물 건너간다.
세대 교체에 방점이 찍힌 1996년 총선(15대), '차떼기당' 오명과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을 맞아 최대 위기에 빠졌지만 40대 정치 신인들을 전진 배치하며 돌파구를 찾았던 2004년 17대 총선 공천은 본보기다.
매력적인 비전이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투쟁으로 일관하면 민심을 끌어올 수 없다. 상대의 허물 캐기가 득이 되는 시대도 지났다. 지금은 자신을 찍게 만드는 매력 발산 시대다.
한국당에 두는 훈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