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민주, 트럼프 '우크라 의혹' 탄핵조사 돌입…대선 초대형 뇌관

입력 2019-09-25 15:33:47


트럼프 '러 스캔들' 이어 '우크라 스캔들' 최대 정치적 위기…바이든 '양날의칼' 될수도
트럼프 "마녀사냥 쓰레기" 반발…재개 임박 시점 북미 비핵화 협상과 함수관계도 주목

낸시 펠로시 민주당 소속 하원의장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의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공식적인 탄핵 조사를 실시하겠다는 성명을 읽고 있다. 연합뉴스
낸시 펠로시 민주당 소속 하원의장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의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공식적인 탄핵 조사를 실시하겠다는 성명을 읽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민주당 소속의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24일(현지시간) 미 의사당에서 하원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여부에 관해 공식 조사에 착수한다고 발표하고 있다. 펠로시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정상과의 부당한 통화를 통해 헌법적 책무를 배신했다면서 아무도 법 위에 군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미국 민주당 소속의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24일(현지시간) 미 의사당에서 하원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여부에 관해 공식 조사에 착수한다고 발표하고 있다. 펠로시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정상과의 부당한 통화를 통해 헌법적 책무를 배신했다면서 아무도 법 위에 군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미국 민주당이 2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이른바 '우크라이나 의혹'과 관련, 하원 차원의 탄핵 조사에 들어가기로 해 미국 정국이 격랑 속으로 빠져들게 됐다. 내년 11월 대선을 앞두고 뜨거운 선거전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트럼프 탄핵론'이 제기돼 메가톤급 뇌관이 될 전망이다.

특히 이번 탄핵 추진은 '현직 대통령 대 민주당의 유력 대선주자'의 정면충돌 양상을 띠고 있어 탄핵 추진 상황에 따라 어느 한쪽이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2년 8개월 만에 최대의 정치적 위기를 맞게 됐다.

민주당 소속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정상과의 부당한 통화를 통해 취임 선서 및 헌법의 의무를 위반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탄핵당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공식 조사를 개시하겠다고 발표했다고 미 언론들이 보도했다.

펠로시 의장은 민주당 비공개회의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은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 그 누구도 법 위에 군림해선 안 된다"며 "이는 당파적 문제가 아니라 우리 민주주의의 고결성과 법의 통치에 대한 존중, 헌법 수호에 관한 문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기자회견은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정상과의 통화 며칠 전 군사원조를 중단하도록 지시했다고 시인, '조사 외압' 의혹을 증폭시킨지 몇시간 만에 열린 것이다.

펠로시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취임 선서에 대한 배반", "국가안보에 대한 배반", "선거의 고결성에 대한 배반"이라고 비판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민주당 유력 대선주자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을 중상모략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의 조력을 시도했는지에 대해 조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펠로시 의장은 "나는 오늘 하원이 공식적인 탄핵 조사를 추진한다는 것을 발표하며 6개의 상임위가 관련 조사를 진행할 것을 지시한다"고 밝혔다. 법사위가 이번 조사를 전체적으로 관장하게 된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워싱턴 포스트(WP)는 하원 민주당 의원 235명 중 탄핵 추진에 찬성하는 의원이 160명을 넘어섰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강력하게 반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유엔에 있는 이와 같은 중요한 날에 이처럼 많은 일과 성공을 이룬 가운데 민주당은 마녀사냥 쓰레기 속보로 이를 망치고 손상시켜야 했다. 우리나라를 위해 매우 나쁘다"고 강력히 반발했다. 그는 탄핵 추진이 오히려 본인에게 긍정적인 일이 될 것이라는 주장도 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사 외압' 의혹과 관련,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문제의 통화 녹취록을 25일 공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녹취록 공개가 1차 '판도라 상자'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이번 탄핵론은 수개월간 표류해온 북미 실무협상 재개가 임박한 가운데 이뤄진 것이어서 향후 북미 비핵화 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된다. 3차 북미정상회담 추진 등 대외 행보가 위축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오히려 트럼프 대통령이 외교 성과 확보를 통한 국면 반전의 기회로 삼기 위해 더욱더 적극적인 대북 관여 드라이브를 걸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김지석 선임기자 jiseok@imaeil.com·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