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파주·연천 농장 공통점은?

입력 2019-09-18 09:57:18


18일 경기도 연천군의 한 양돈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가 발생해 방역당국의 출입 통제선이 설치되어 있다. 연합뉴스
18일 경기도 연천군의 한 양돈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가 발생해 방역당국의 출입 통제선이 설치되어 있다. 연합뉴스

17일 경기도 파주에 이어 18일 연천에서 치사율 100%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잇따라 발생해 우려를 낳고 있다.

두 농가의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전파 경로는 현재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까지는 두 농가 간 역학관계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파 경로를 유추해볼 수 있는 두 발생 농가 간 유사점은 몇 가지가 있다.

우선 두 농가는 올해 5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북한과 이어진 하천 인근에 있다.

파주 농장은 한강, 임진강 합수 지점으로 북한과 임진강을 사이에 둔 오두산통일전망대에서 직선거리로 5.2㎞ 떨어져 있다. 북한에서 농장까지 불과 7∼8㎞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연천 발생 농장도 북한과 이어진 사미천에서 1㎞가량 거리에 있다. 사미천을 따라 4㎞가량 상류로 올라가면 바로 비무장지대(DMZ)다. 해당 농장은 임진강에서는 2㎞ 떨어져 있다.

또 다른 공통점은 농장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가 네팔 국적이라는 점이다. 파주 농장의 경우 4명 모두, 연천 농장은 5명 중 4명이 네팔 국적(나머지 1명은 스리랑카)이다. 하지만 네팔이나 스리랑카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지역이 아니다.

두 농가의 외국인들은 연천 농장 네팔 국적 외국인 1명이 올해 5월 자국을 방문한 것 외에 외국을 다녀온 적이 없다. 두 농가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서로 접촉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두 농가의 농장주도 모두 최근 해외여행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두 농가는 돼지에게 사료를 공급했다. 경기도는 사료를 통한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을 일축했다. 사료 운반 차량에 의해 전파될 수 있으나 두 농장을 동시에 다녀간 사료 차량이 없고, 사료 자체는 열처리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오염될 수 없다는 것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두 농장 모두 북한과 가까운 지역이어서 육식 야생동물에 의한 전파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