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우려에 19세기 금광에 골드러시 부활

입력 2019-09-11 16:34:14

호주 빅토리아주에선 105년만의 최대 호황
"안전자산 수요증가·광업기술 발전에 노다지 널렸다"

경기침체 우려로 금값이 치솟자 잊혀가는 금광들이 호황을 맞이하고 있다. 11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호주 빅토리아 주 금광들에서 생산되는 금의 양은 경기둔화와 맞물려 벌써 1914년 이후 최대까지 늘었다. 광산업체들이 땅을 더 깊이 파고 들어가 더 풍부한 매장지를 찾아내면서 생산량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금 투자업체인 '베이커 스틸 캐피털 매니저스'의 데이비드 베이커는 "살면서 이런 건 처음 봤다"며 "안전한 지하 피신처를 찾은 셈"이라고 말했다.

빅토리아 주 정부는 과거 골드러시가 이뤄진 1851년에 생산된 금만큼이나 많은 8천만 온스의 금이 지하에서 채굴을 기다리고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탐지와 채굴 기술발전 덕분에 금광 채굴의 채산성은 현격히 향상되고 있다. 호황을 누리는 빅토리아 주 포스터빌의 금광 등급(채굴광물 대비 금의 양)은 2013년 t당 5g이던 것이 작년 12월 t당 31g까지 올라갔다.

이는 새로운 노다지가 속출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이미 빅토리아 주에서는 버려진 역사적 금광 두 곳에서 작년부터 생산이 시작됐고 정부 허가를 기다리는 곳도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 캘리포니아 골드러시와 맞먹은 이 지역이 10년 전까지만 해도 폐광촌이 될 것으로 여겨지다가 극적으로 부활했다고 풍경을 전했다.

캐나다 커크랜드 등 글로벌 광산업체들의 사기도 하늘을 찌르고 있다. 미국 역시 이미 검증된 주요 금광 지역에서 골드러시가 부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최근 들어 금값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글로벌 경제성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의 간판 격인 금을 찾는 수요가 늘기 때문이다. 미국의 종합금융업체 시티그룹의 애널리스트인 배리 에리히는 금값이 향후 2년 사이에 온스당 2천달러를 돌파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