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필수부품 SiC웨이퍼 시장 진출
구미국가산업단지 내 반도체 웨이퍼 제조기업인 SK실트론이 미국 듀폰의 웨이퍼 사업부를 통째로 인수해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고 있는 전력반도체 시장에 진출한다.
SK실트론은 10일 이사회를 열고 듀폰의 실리콘 카바이드 웨이퍼(이하 SiC 웨이퍼) 사업부를 4억5천만달러(5천400여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양 사는 관련 국내외 인·허가 승인을 거쳐 연내 인수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SiC 웨이퍼는 고경도, 내전압·내열 특성으로 에너지 효율이 중요한 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전력반도체용 웨이퍼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미국 테슬라를 비롯한 국내외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SiC 웨이퍼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으나 소수 업체만이 양산 가능해 세계적으로 공급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듀폰의 SiC 웨이퍼 사업은 독자 생산설비 설계 및 운영 노하우 등을 기반으로 미국·유럽 등지의 대형 전력반도체 제조사 대상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글로벌 수준의 품질과 양산 기술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 필수 소재인 SiC 사용량도 획기적으로 증가하게 돼 글로벌 소재 업체들 사이에선 관련 영역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150mm SiC 웨이퍼의 경우 자체 설계 및 양산 기술을 보유한 업체는 듀폰을 포함한 소수 기업에 불과하다.
SK실트론 관계자는 "이번 인수는 빠른 시장 및 기술 진입을 위한 것으로, 향후 미국 현지 R&D 및 생산시설 강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여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