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신라의 밤이여, 불국사의 종소리 들리어온다….' 1949년 가수 현인의 목소리를 타고 흘러나온 가요 '신라의 달밤'은 공전의 히트를 거듭하며 '경주' 하면 떠오르는 노래가 되었다. 그러나 그 안팎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천년고도 경주'를 상징하는 노래로서 품격과 내용을 갖췄는지에 대해 마뜩잖은 시선을 건네는 사람들도 많다.
우선은 이 가요의 탄생을 둘러싼 군국주의의 눅진한 체취 때문이다. 이 곡은 일제강점기 말 악극단의 무대공연에서 이국 풍경을 표현하던 춤과 노래였다는 분석이 있다. 원곡은 '인도의 달밤'이었는데 작사가 조명암이 월북하면서 '신라의 달밤'이라는 제목과 노랫말로 대신했다는 주장도 있다.
'신라의 달밤' 노래 한 곡으로 스타덤에 올랐던 가수 현인과 작곡가 박시춘의 친일 이력도 께끄름하다. 게다가 가수 현인이 경주와는 아무런 인연도 없는 데다, 노랫말 또한 천년왕국 신라의 정서를 대변하기에는 너무도 무미건조하다. 일본서 성악을 전공한 가수의 독특한 창법도 경주의 내면에는 미치지 못한다. 이른바 '조폭영화'가 유행하던 2000년대 초 개봉한 '신라의 달밤'도 시답잖기는 마찬가지다.
경주로 수학여행을 온 고교생들이 휘영청 밝은 달빛 아래에서 화끈한 패싸움을 벌였다. 당시 동창생이던 특별한 두 남자가 10년 후 우연히 경주에서 재회하게 된다. 모범생 친구는 지능적인 조폭이 되었고, 싸움 짱이던 녀석은 체육교사가 되어 나타난 것이다. 이들이 한 여자를 놓고 벌이게 되는 사랑과 우정의 코믹 액션이 그 내용이다. 이런 한 영화의 제목이 왜 하필이면 '신라의 달밤'인가?
영화를 애써 폄하하자는 얘기가 아니다. 신라의 달밤이 이런 경박한 정서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천년 세월의 흥망성쇠가 스며 있는 무궁한 문화유산의 보고 경주의 달밤이 아닌가. 달밤에 대한 미학적 접근도 그렇다. 백제 가요 '정읍사'에서 서정적인 공간으로 탄생한 이 땅의 달밤은 신라 향가에서 종교적 심미감과 형이상학적 중량감을 보탰다.
경주가 낳은 작가 김동리는 수필에서 '보름달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고 세상은 충분히 아름답고 황홀하고 슬프고 유감한 것'이라며 보름달의 고전적인 완전미와 조화적인 충족감을 찬양했다. 전성기 신라의 달밤이 그랬을 것이다. 신라의 달밤에는 영지못가에서 탑(塔) 그림자를 찾는 순정의 아사녀가 있었고, '달빛 아래 밤드리 노니다가 돌아와 다리가 넷인 것을 보고' 오히려 춤을 추는 처용의 파격도 있었다.
무엇보다도 경주의 달밤에는 불국정토를 지향했던 신라인들의 고차원적 세계관과 풍류와 원융의 인생관이 흠뻑 배어 있다. 유불선이 공존했던 신라의 달밤은 청정과 광명, 유현과 적막의 정서에다 개방과 포용, 도전과 혁신의 정신까지 지니고 있었다. 그런 신라의 달밤을 다시 부활해야 한다. 그나마 '신라의 달밤 걷기대회'가 그 초승달을 띄운 것이라면 이제 반달로 키우고 원만구족한 보름달로 가꿔야 한다.
새로 등장한 경주호의 선장이 각별한 의지를 가졌다면 신라왕경 복원사업에 청신호가 켜진 지금이 풍요로운 신라의 달밤을 재현할 호기이다. 황룡사와 에밀레종, 불상과 석탑 그리고 금관과 토기를 비추던 달빛은 어디로 갔는가. 화랑 관창과 김유신 장군, 원효와 혜초 스님, 선덕여왕과 무열왕, 장보고와 최치원이 그리던 달을 되살려야 한다. 경주는 한국 문화의 근간이다. 올 추석 한가위 달을 바라보며 '신라의 달밤'을 어떻게 수놓을 것인가를 고민하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