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경북 경주에 있는 중수로 월성 원전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포화가 임박해지면서 원전 부지 내에 추가 임시저장시설인 맥스터 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한수원은 사용후핵연료 16만8천다발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조밀건식저장모듈(맥스터) 7기를 내년 초 착공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건설 예정 부지로 원전 내에 6천300㎡ 규모의 땅을 마련했다.
목표 시기까지 맥스터 추가 건립이 해결되지 않을 경우 우리나라 전체 전력생산의 2%가량(대구·경북 25%)을 책임지고 있는 월성 2~4호기 가동은 중단된다.
◆사용후핵연료 현황
한수원은 맥스터 7기를 준공하는데 최소 19개월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월성 원전 사용후핵연료 기존 저장시설 포화가 예상되는 2021년 11월 이전에 공사를 마무리하려면 이르면 올 연말에는 착공해야 한다는 의미다.
현재 기존 저장시설 포화율(2분기 기준)은 습식 83.13%, 건식 96%를 보이고 있다. 건식저장시설은 원통형 콘크리트 내부에 강철원통이 1개씩 담겨 있는 캐니스터와 직육면체형 콘크리트 모듈 내부에 강철원통이 40개씩 들어있는 맥스터로 구분된다. 사용후핵연료 16만2천다발을 담고 있는 300기 캐니스터는 2010년에 포화됐다.
고리 원전(고리 2~4호기·신고리 1~2호)과 한빛 원전(한빛 1~6호기), 한울 원전(한울 1~6호기·신한울 1~2호기) 등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포화율도 70~80%를 웃돌고 있다. 이들 경수로 원전 역시 2028년 기존 저장시설이 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 어디까지 왔나
1983년부터 시작된 사용후핵연료 관리시설 부지 확보는 번번히 실패했다.
2005년 주민투표 방식을 적용해 원전에서 사용된 장갑, 작업복, 덧신 등 방사능 준위가 낮은 중저준위 방사성핵폐기물 처분시설(2015년 가동)을 경주에 지은 게 전부다.
고준위 방사성핵폐기물 저장시설 건립은 엄두도 못내고 있다. 1990년 안면도를 시작으로 1994년 굴업도, 2004년 부안 등이 주민 반발로 무산되면서 한수원은 급한대로 원전 내 보관하는 임시저장시설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한수원이 오랜 시간 주민들을 대상으로 맥스터에 대해 홍보하면서 요즘은 주민들이 경제성과 안전성에 대한 이해를 많이 하고 있는 상태다. 원전 주변 지역민들이 맥스터 추가건립에 공감하는 것이 그 일례다.
하지만 탈핵시민행동 등 여러 반핵단체는 맥스터 추가건립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맥스터 추가건립이 이뤄진다면 발전소 가동은 핵폐기물 배출과 상관없이 계속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이다.
맥스터 추가건립으로 핵폐기물이 대책없이 쌓인다면 결국 그 위험에 대한 비용은 그대로 지역민에게 돌아갈 것이라는 게 이들이 주장이다.
반핵단체 관계자는 "우리나라 경수로 원자로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보다 더 많은 양이 월성 2~4호기 중수로에서 나온다"며 "맥스터 추가건립에 앞서 월성 2~4호기 운영에 따른 철저한 검토가 뒤따라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