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D, 반난민 정서 흡수
기민과 사민, 각각 제1당 사수…당내 변화 목소리 커질듯
독일 극우 성향의 정당 '독일을 위한 대안'(AfD)이 지난 1일(현지시간) 시행된 작센주(州)와 브란덴부르크주 지방선거에서 나란히 2위의 득표율로 급부상, 기독민주당과 사회민주당 등 기성 정당들에 비상이 걸렸다.
AfD는 개표 비공식 집계 결과 작센주에서 2014년 지방선거때 보다 17.8% 포인트 뛰어오른 27.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기염을 토했다. 기민당은 32.1%의 득표율로 제1당 자리를 지켰으나, 2014년 지방선거와 비교해 7.3% 포인트 떨어졌다. 사민당은 4.7% 포인트 떨어진 7.7%로 부진했다.
AfD는 브란덴부르크주에서도 11.3% 포인트 오른 23.5%로 대약진한 반면 사민당은 26.2%의 득표율로 제1당 자리를 유지했으나, 이전 선거보다 5.7% 포인트 떨어졌다. 기민당은 15.6%로 7.4% 포인트 떨어졌다.
AfD는 2017년 총선에서 옛 동독지역의 지지를 발판으로 제3당에 오르며 연방하원에 처음 진출하는 파란을 일으켰다. 이후 바이에른주 지방선거 등에서도 선전하며 기성 정당들을 긴장하게 했다.
AfD의 부상은 반(反)난민 정서와 반이슬람 정서에 기댄 측면이 크다. 2015년 유럽의 '난민 위기' 당시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난민을 대거 받아들인 뒤 형성된 이슬람 출신 난민들에 대한 불안감을 기성 정당이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다는 불만의 표심이 AfD로 향하게 했다.
특히 옛 동독지역이 경제적으로 여전히 옛 서독지역에 비해 낙후된 데다, 옛 동독지역 주민이 '2등 국민' 취급을 받는다는 인식은 옛 동독지역에서 AfD의 몸집을 더욱 커지게 했다. 다만, AfD는 2개 주에서 제2당 자리에 올랐으나, 기민당과 사민당 등 기성정당들은 선거 과정에서 AfD와의 연정을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기 때문에 주 정부 구성에 참여하지 못할 전망이다.
또, AfD는 작센주에서 정당 후보명단 작성과 관련된 절차상 문제로 작센주 헌법재판소 판결에 따라 최대 30석까지만 의석을 차지할 수 있도록 돼 있어, 적용 과정에서 상당한 논란이 될 전망이다. 작센주에서 득표율대로라면 AfD의 최대 의석은 38석으로 전망된다.
기민당과 사민당은 각각 작센주와 브란덴부르크주에서 제1당을 수성했지만, 부진한 성적표로 인해 궁지에 몰렸다. 현재 메르켈 총리의 유력한 후계자인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 기민당 대표는 선거 후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 정책 등을 강화해 당의 면모를 일신해 AfD의 도전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라르스 클링바일 사민당 사무총장은 "AfD의 성공을 막는 방법은 (우리가) 좋은 정치를 추구하고 정부에서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책임감을 저버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석 선임기자 jiseok@imaeil.com·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