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에 금광 생기나…채굴 계획 인가 신청

입력 2019-09-03 20:30:00

모 사업자 경북도에 금광채굴계획 인가 신청
실제 채굴까지는 인허가 등 과제 산적

경북도청 전경
경북도청 전경
지난달 29일 상주시 낙동·중동면 일대 276ha 규모 상주금광을 대상으로 한 채굴계획 인가신청서가 도에 접수됨에 따라 실제 채굴이 이뤄질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금광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달 29일 상주시 낙동·중동면 일대 276ha 규모 상주금광을 대상으로 한 채굴계획 인가신청서가 도에 접수됨에 따라 실제 채굴이 이뤄질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금광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금 매장이 확인됐지만 현재 채굴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경북 상주금광에 대해 채굴계획 인가신청이 접수돼 실제 채굴로 이어질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업성이 없어 대부분 휴업 상태인 경북지역 금광을 대상으로 채굴신청이 새로 접수된 것은 이례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3일 경북도와 상주시에 따르면

신청서를 접수한 채굴권자 A씨는 2013년 산업통상자원부 광업등록사무소에 탐사권을 등록한 뒤 탐사계획 신고 등을 거쳐 올해 7월 상주금광 채굴권을 얻었다.

채굴기간은 2039년까지 20년간이다.

경북도 내 금광 채굴권은 모두 118개이며, 채굴계획 인가까지 얻은 곳은 3개 시군 4개 광산이 있다. 하지만 이들 금광은 경영상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사실상 휴업 상태로 채굴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도 관계자는 "신규 금광 채굴계획 인가신청이 들어온 것은 근래 10여 년간 없었던 드문 사례"라고 설명했다.

국내 금광은 일제 강점기 '골드러시' 이후 하나둘 문을 닫아 현재는 전남 해남에 1곳 정도가 가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상주지역에는 일제 강점기 일부 광산에서 금 채굴이 성행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국내에 산재한 금광은 매장량 대비 사업성이 부족해 최근에는 실제 채굴로 이어지는 경우가 손에 꼽힌다.

이런 가운데 최근 금값이 고공행진을 하는데다 금이 안정적 보유자산으로 가치가 높아지면서 '금광 채굴이 수지타산이 맞는 사업이 됐다'는 해석도 나온다. '산자부가 채굴권을 내줬다는 것은 사업성이 있다고 본 간접적 증거'라는 것이다.

다만 매장량, 원광석 순도 등이 사업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이는 채굴해보지 않고서는 확신할 수 없다는 경계의 목소리도 나온다. A씨는 상주금광에 원광석 3천600t이 매장됐다고 추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는 A씨의 채굴계획 인가신청서를 꼼꼼히 따져 부족한 점은 보완하도록 하고 실제 사업성이 있는지 등을 살필 작정이다. 행여 금광 채굴권을 빌미로 투자자를 모으는 등 부정한 움직임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도 인가 절차와 함께 산지일시허가와 같은 상주시 인허가 절차 등 넘어야 할 과제가 많다"면서 "언제 실제로 채굴할 지는 가늠하기 어렵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