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의 공포' 부쩍 늘어나…경제지표 보며 정책 펼 것"
"두세달 마이너스 물가 가능성…디플레 우려 상황은 아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추가로 완화적 통화정책을 펼 수 있는 정책 여력을 갖고 있는 상황이라고 30일 밝혔다. 다만 무역분쟁 등 대외 경제여건 불확실성이 매우 커진 상황이라며 이런 여건의 전개 추이를 살펴보면서 추가 금리 인하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기준금리를 1.50%로 동결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마친 뒤 "통화 완화 정도가 어디까지일지는 지금 예단해 말하기는 어렵다"며 "대외 리스크 요인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또 국내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종합적으로 보고 경제지표를 확인해 나가면서 정책을 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국은 정책금리 실효하한이 기축통화국보다 높다는 점, 현재 기준금리 수준이 낮아져 있는 점을 감안하면 과거에 비해 정책여력이 충분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앞으로 경제 상황에 따라 필요 시 대응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여력은 갖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디플레이션 논란에 대해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유류 가격 하락 영향에 일시적으로 0% 내외로 상당폭 낮아질 것이고, 두세 달 정도는 마이너스를 나타낼 가능성도 있다"면서도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선 7명의 금통위원 중 조동철·신인석 위원이 0.25%포인트(p) 인하 소수의견을 냈지만 이주열 총재를 비롯한 5명은 동결 쪽에 섰다. 두 차례 연속 금리를 내리기는 부담스러운 만큼 '일단 동결'을 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은의 결정에 중요한 고려 요소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관측도 동결 배경으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