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의 공포' 부쩍 늘어나…경제지표 보며 정책 펼 것"
"두세달 마이너스 물가 가능성…디플레 우려 상황은 아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추가로 완화적 통화정책을 펼 수 있는 정책 여력을 갖고 있는 상황이라고 30일 밝혔다. 다만 무역분쟁 등 대외 경제여건 불확실성이 매우 커진 상황이라며 이런 여건의 전개 추이를 살펴보면서 추가 금리 인하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기준금리를 1.50%로 동결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마친 뒤 "통화 완화 정도가 어디까지일지는 지금 예단해 말하기는 어렵다"며 "대외 리스크 요인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또 국내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종합적으로 보고 경제지표를 확인해 나가면서 정책을 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국은 정책금리 실효하한이 기축통화국보다 높다는 점, 현재 기준금리 수준이 낮아져 있는 점을 감안하면 과거에 비해 정책여력이 충분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앞으로 경제 상황에 따라 필요 시 대응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여력은 갖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디플레이션 논란에 대해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유류 가격 하락 영향에 일시적으로 0% 내외로 상당폭 낮아질 것이고, 두세 달 정도는 마이너스를 나타낼 가능성도 있다"면서도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선 7명의 금통위원 중 조동철·신인석 위원이 0.25%포인트(p) 인하 소수의견을 냈지만 이주열 총재를 비롯한 5명은 동결 쪽에 섰다. 두 차례 연속 금리를 내리기는 부담스러운 만큼 '일단 동결'을 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은의 결정에 중요한 고려 요소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관측도 동결 배경으로 꼽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