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출을 합리적으로 줄여서 미래를 위한 자산 마련해야
김현정 NH농협은행 대구영업본부 WM 차장
자녀 한 명이 독립할 때까지 양육비가 2억7천만원, 자녀 결혼비용이 1억7천만원, 부부 평균 노후생활비가 4억3천만원이라는 통계가 나왔다. 이런 통계들은 해마다 바뀌긴 하겠지만 어찌 됐든 자녀 하나 키우는데 13억원, 둘이면 17억원, 셋이면 20억원 정도, 또 부부가 40년 동안 라면만 먹고산다고 해도 8억원이 넘는 돈이 필요하다.
우리가 흔히 쉽게 접할 수 있는 통계 자료다. 엄청난 비용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이 외에도 돈이 더 많이 필요하다. 문화생활도 해야 하고 취미생활도 해야 한다. 이런 엄청난 비용들을 지출하기 전에 한 번쯤 생각한다면 지출을 줄이고, 더 효율적인 자산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재테크의 기본은 수입과 지출의 조화, 즉 수입보다 지출이 적은 비용구조를 가져야 한다. 아무리 수입이 많아도 그보다 지출이 많다면 파산의 길로 가게 된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해서는 절대 안 된다. 다시 말해 수입이 많고 적음을 떠나 중요한 것은 적은 지출을 유지하는 것이 재테크 기본이다.
우리의 나쁜 습관 중의 하나는 수입이 증가할 경우 지출도 비례해 늘린다는 것이다. 집값 올라서 기분이 좋다고 소고기 사 먹는다는 사람, 주식 올랐다고 기분 내다가 주식이 떨어지면 영수증밖에 없는 사람…. 이런 사람들은 미리 확정되지 않은 수입을 생각하고 지출하는 경우다.
반면에 어떤 물건을 사려고 할 때 이것이 지금 나에게 꼭 필요한가, 한 달 뒤 또는 일 년 뒤에도 같은 생각으로 필요한가를 생각해 본다면 한층 더 효율적인 재테크를 할 수 있다.
흔히 자신의 의지에 관계없이 지갑을 쉽게 열게 되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하나는 자동차 관련 비용이고 다른 하나는 높은 주거비 비용이다. 두 가지 경우의 공통된 특징을 살펴보면 일단 멋이 있어 보이고, 한 번 빠지게 되면 더 크고 더 좋은 것을 추구한다는 점이다.
또 생활하는 데 꼭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절약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한다. 친구나 주변 사람들이 멋진 차를 몰고 다니는 것을 보면 사고 싶고, 멋진 집에서 사는 것을 보면 멋지고 더 넓은 집을 선호하게 된다.
이것은 자산 형성에 큰 걸림돌이 된다. 종자돈을 만들기 전까지 지출에 대한 고민부터 절약에 이르기까지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 인생의 시기에 따라서 지출에 대한 생각이 달라져야 한다.
20대와 30대에는 어떻게 지출을 줄일 수 있는가를 고민해야 한다. 40대는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지출할 수 있을까를 살펴야 한다. 50대는 지출을 보람되게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야 할 시기라고 볼 수 있다.
편하고 멋있는 것을 가지고 싶어하는 마음은 누구에게나 있다. 하지만 멋 내는 것은 순간이지만 후유증은 우리 아이와 나의 노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한 순간의 화려함을 선택할 것인가, 아름다운 여정을 선택할 것인가? 스스로의 선택이 반드시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