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뒷담(後談)25] 철거되는 대구 북성로

입력 2019-07-30 18:34:42 수정 2019-08-15 17:17:27

대구 북성로 및 쪽방촌에 새겨진
대구 북성로 및 쪽방촌에 새겨진 '철거' 'X' 글자들. 황희진 기자
대구 북성로 및 쪽방촌에 새겨진
대구 북성로 및 쪽방촌에 새겨진 '철거' 'X' 글자들. 황희진 기자
대구 북성로 및 쪽방촌에 새겨진
대구 북성로 및 쪽방촌에 새겨진 '철거' 'X' 글자들. 황희진 기자
대구 북성로 및 쪽방촌에 새겨진
대구 북성로 및 쪽방촌에 새겨진 '철거' 'X' 글자들. 황희진 기자
대구 북성로 및 쪽방촌에 새겨진
대구 북성로 및 쪽방촌에 새겨진 '철거' 'X' 글자들. 황희진 기자
대구 북성로 및 쪽방촌에 새겨진
대구 북성로 및 쪽방촌에 새겨진 '철거' 'X' 글자들. 황희진 기자

대구 중구 북성로 일부 지역 및 대구시민회관 건너편 쪽방촌이 곧 철거에 돌입합니다. 한 민간 재개발 사업의 여파입니다. 올해부터 2023년까지 '북성로 도시재생 뉴딜사업'도 이 일대에서 이뤄져 '호재'라고들 얘기합니다.

그러면서 철거가 예정된 건물들에 붉은 글자가 새겨지고 있습니다.

그간 대한민국에서 이뤄진 여느 재개발, 뉴타운, 뉴딜 등의 이름이 붙은 사업 초기에 현장에서 목격이 돼 온 글자들입니다.

누가 법으로 따로 지정해 준 것도 아닌데, 서울이나 대구나 어디나 똑같이 붉은색 락카 스프레이를 사용해 또한 똑같이 '철거'와 'X'라는 글자를 새깁니다.

빨리 쓰느라 그랬는지 '철'의 받침 'ㄹ'이 'z'이 되고, '거'가 '지'가 되기도 합니다. 'X'의 교차하는 2개 선은 보통 위에서 아래로(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긋습니다. 그래서 X의 두 선은 어떤 건 마치 국기봉 같기도, 또 어떤 건 '게'의 다리 같기도 합니다.

철거 글씨를 쓰는 사람이 몇 명이나 투입됐는지 가늠할 수 있는 힌트는 철의 'ㅊ' 필체이지 싶습니다. 'ㅈ' 위의 '·'을 세로로 그었느냐, 가로로 그었느냐, 또는 점으로 찍었느냐, 그러면 그 점의 굵기가 어느 정도이냐 따위를 살펴보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좀 더 자세히 보면 '철(撤)거'는 글자가 아니라 '철(鐵)조망'입니다. 건물 주위를 '꽁꽁' 둘러싸고 있습니다.

대구 북성로의 디저트 가게였던 곳. 곧 문을 닫았다. 황희진 기자
'철거'에 따라 대구 북구 유통단지로 가는 한 가게. 황희진 기자

북성로 공구골목의 일원이었던 가게 일부는 대구 북구 유통단지로 갑니다. 북성로 상권은 그만큼 규모가 작아집니다.

2017년 당시 대구 북성로
대구 북성로의 디저트 가게였던 곳. 곧 문을 닫았다. 황희진 기자

적산가옥을 다시 꾸며 영업을 이어나갈 것 같았던 한 디저트 가게는 아쉬운 창업 스토리가 됐습니다. 한 책방은 대구 남구 대명동에서 북성로로 왔다가 또 어딘가로 떠나야 할 지 모를 처지라 합니다.

2019년 7월 30일 현재 대구 북성로
2017년 당시 대구 북성로 '소금창고'. 황희진 기자
대구 북성로 한 건물 철거 현장. 황희진 기자
2019년 7월 30일 현재 대구 북성로 '소금창고'(왼쪽). 황희진 기자

대구 근대건물 리노베이션 대표 사례로 시민들 및 관광객들에게 소개 돼 온 '소금창고'도, 아이러니하게도 리노베이션(Renovation, 기존 건축물을 헐지 않고 개 · 보수해 사용하는 것)의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철거됩니다. 1907년 세워진 소금 창고 건물(및 1937년 붉은 벽돌로 지어진 건물 포함)은 이래 저래 용도가 바뀌고 또 한동안 비어 있으면서도 겪지 않았던 '죽음'을 태어난 지 110여년만에 처음으로 맞게 됐습니다.

이렇듯, 잘 살아보자고 하는 사업이라곤 하지만 그게 완벽하지는 않아 보입니다.

북성로는 1906년 대구읍성이 허물어진 자리 북편에 도로 및 일대 상권으로 태어났습니다. 이후 일제강점기 대구 최고 번화가였고, 한국전쟁 시기를 지나 1970~80년대 전국 최대 공구골목이었다가, 잠시 침체기를 겪더니, 2010년 전후로 다양한 상업 및 문화 공간이 들어서며 변신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그 다음 북성로의 역사는 어찌 될까요?

대구 북성로 한 건물 철거 현장. 황희진 기자

이 게시물은 골목폰트연구소(www.facebook.com/golmokfont)의 도움을 얻어 작성했습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