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올해 2분기 성장률 1.1%로 반등…정부 재정지출 덕분

입력 2019-07-25 17:36:28

-0.4%였던 지난 1분 성장률의 기조효과도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지난 1분기 대비 1.1%로 반등했다. 이는 민간 투자와 수출보다는 정부의 재정지출 덕분이다.

한국은행은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경제성장률)이 1.1%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2017년 3분기 1.5% 이후 7개 분기만에 최고치다. 지난해 동기 대비 성장률은 2.1%다.

주체별 성장기여도를 보면 민간이 1분기 0.1%포인트(p)에서 2분기 -0.2%p로 돌아섰다. 반면 정부는 -0.6%p에서 1.3%p로 전환됐다. 정부가 1분기에 조기 집행한 재정이 2분기에 지방자치단체로 공급되는 등 정부 기여가 컸기 때문이다.

실질 GDP 중 민간 소비는 전기 대비 0.7%, 정부 소비는 2.5% 각각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1.4%, 설비투자는 2.4% 늘었다. 또 수출은 2.3%, 수입은 3.0% 증가했다. 민간 소비는 의류 등 준내구재와 의료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증가했고, 정부 소비는 물건비와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이 늘었다.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이 줄어든 대신 토목 건설이 늘었고, 설비는 운송장비 위주로 증가했다. 수출은 자동차와 반도체, 수입은 기계류가 증가세를 이끌었다.

하지만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로 보면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는 -3.5%와 -7.8%, 수출과 수입은 1.5%와 0.1%다. 재화수출과 재화수입은 -0.6%와 -0.4%에 그쳤다. 결국 2분기 교역과 투자지표가 1분기와 비교해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지만, 경기 회복 신호로 보기 어려운 것이다.

2분기 성장률은 지난 1분기 -0.4%의 역성장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한 측면이 있다. 한은 관계자는 "정부가 성장에 기여했지만 민간 투자와 수출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라며 "3분기와 4분기에 0.8∼0.9%씩 성장해야 전망치인 연간 2.2% 성장이 가능하다"고 했다.

한은은 최근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하면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5%에서 2.2%로 낮췄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