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유치 의향서 제출…로봇·자율주행차 등 지역 4차산업과 연계 기대
대구시가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 유치전(매일신문 7월 13일자 9면)에 뛰어들었다.
23일 네이버에 따르면 '제2 데이터센터' 용지 공모에서 전국 60개 지방자치단체와 민간·개인사업자 등 136개의 유치 의향서가 접수됐다.
시는 23일 네이버에 제2데이터센터 유치의향서를 제출하고 전국 지자체들과 유치 경쟁에 돌입했다. 시는 다음달 14일까지 달성군 테크노폴리스 내 연구시설용지를 부지로 제안하는 내용의 제안서를 네이버에 제출할 계획이다.
테크노폴리스 내 연구시설용지는 네이버의 데이터센터 부지 희망 요건에 적합하고 내년에 바로 착공 가능하다는 점이 고려됐다. 특히 대구에서 200MVA(메가볼트암페어) 이상의 전력공급용량과 하루 5천100t 규모의 상수도공급망을 갖춘 부지는 테크노폴리스가 거의 유일하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네이버는 지자체들의 제안서를 검토한 뒤 이르면 9월 중 우선협상부지를 선정할 방침이다. 선정된 부지는 내년 상반기 중에 착공, 2022년까지 데이터센터 사용 승인을 받을 예정이다. 총 사업비는 5천400억원으로 예상된다.
데이터센터는 각종 데이터를 보관하는 인터넷기업의 핵심시설이다. 그러나 대구시는 당초 제2데이터센터 유치 효과에 대해 의구심을 보였다.
최소한의 관리인력만 상주하기 때문에 고용유발효과가 낮고 경제파급효과도 장담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였다. 강원도 춘천에 있는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의 경우 유지보수는 네이버 본사가 담당하고, 센터에는 관리보안 인력 170여 명만 상주한다.
대구시는 대신 네이버의 4차산업혁명 전략에 초점을 맞췄다.
데이터센터 설립에 머물지 않고 네이버가 개발 중인 서비스용 로봇, 자율주행자동차 등과 연계해 지역 산업과 상승 효과를 내겠다는 것이다. 세수 증대 등 지역 경제 활성화 역시 기대하고 있다.
대구 IT업계 역시 200~300명의 새 일자리가 생겨나고 매년 수십억원 규모의 유지보수 일감도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의 로봇클러스터, 스마트시티 실증도시 등과 협업이 가능한 형태의 유치제안서를 낼 것"이라며 "네이버가 요구한 전력 및 상수도 공급을 감당할 지자체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