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임기의 여성들은 약 한 달에 한 번 생리를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보통 생리는 21~35일을 간격으로 3~5일간 지속되며 갑자기 생리를 하지 않거나 생리 주기가 밀리고, 당겨지는 등 이상을 경험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생리불순이라 하여 정상적인 주기를 벗어나거나 생리의 양이 눈에 띄게 달라지는 등의 현상을 말한다.
초경 무렵에는 호르몬이 불균형하기 때문에 생리불순 현상이 자주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생리주기가 바로잡힌 상태에서 생리불순증상은 건강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생리불순이 나타났다면 병원 등에서 꼼꼼한 확인을 통해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는 것이 좋다. 특히 생리주기나 기간과 양 등도 꼼꼼히 확인해 자신의 증상을 파악해야 한다.
잠실인애한의원 최예원 원장은 "생리불순은 뇌종양이나 갑상선질환, 당뇨와 같은 대사 장애, 다낭성난소증후군, 조기폐경 등 다양한 질환이 원인일 수 있다. 특히 장기적인 생리불순을 가지고 있는 여성이라면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아닌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생리불순이 나타났다면 왜 이런 증상들이 나타났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반드시 조기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주기가 평균보다 길거나 짧으면 빈발월경이나 희발월경으로 볼 수 있다. 생리 양이 정상적이지 않다면 과다월경이나 과소월경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생리양이 과도하게 나오는 과다월경이라면 빈혈과 같은 2차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특히 주의해주는 것이 좋고, 자궁근종이나 자궁내막증, 염증 등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닌지도 확인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생리기간이 아닌데도 소량의 자궁 출혈이 나타나는 부정출혈이나 월경이 6개월 이상 없는 무월경도 모두 생리불순 증상에 해당되어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좋다. 이렇게 생리불순 증상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에 정확히 파악해 치료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한의학에서는 생리불순을 치료하기 위해 한약, 침, 뜸 등의 한방요법을 활용한다. 생리불순을 유발하는 원인을 치료해 스스로 정상적인 분비가 이뤄지도록 돕는 치료에 주력한다. 이를 통해 난소활동을 회복시켜주고 호르몬의 균형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정확한 처방에 집중한다.
한편, 생리불순을 겪을 때 피임약을 먹어 강제적으로 생리를 하려고 하기 보단 병원을 찾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정상적인 호르몬 분비를 위한 치료 등을 통해 생리주기를 되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