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성인 1만7천여명 조사
청장년층 남성에서 팔다리 근육량이 줄어들면 당뇨병 발병 위험이 약 2배 이상 높아진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건강의학과 김홍규 교수팀은 2007∼2014년 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은 20∼69세 1만7천280명을 평균 5.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첫 검진 때 측정한 팔다리 근육량과 체지방량을 기준으로 대상자를 '근육량과 체지방량이 모두 적은 그룹', '근육량은 많고 체지방량이 적은 그룹', '근육량은 적고 체지방량이 많은 그룹', '근육량과 체지방량이 모두 많은 그룹' 등 4개로 나눴다.
이후 각 그룹의 당뇨병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근육량은 많고 체지방량이 적은 그룹에 속했던 남성 가운데 34%는 5∼6년이 지나도 원래 체성분을 그대로 유지했으나, 나머지 66%는 근육량 및 체지방량 변화로 체형이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또 근육량은 많고 체지방량이 적은 그룹 남성을 보면 주 3회 이상 운동을 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60.6%로, 체형 변화를 보인 다른 남성들에 비해 높았다. 이들의 당뇨병 발생률은 2.2%로 가장 낮았다.
반면 팔다리 근육량이 줄어든 남성은 당뇨병 발생률이 4.8%로 근육량을 유지한 그룹보다 2.2배 높았다. 이는 체지방량이 거의 변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팔다리 근육량이 줄어들면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밖에 근육량이 유지돼도 체지방량이 증가한 남성에선 3.6%가 당뇨병이 발병했고, 근육량은 줄고 체지방량은 늘어난 남성은 당뇨병 발병률이 5.7%로 가장 높았다.
한편 여성은 근육량과 당뇨병 발병 사이의 연관성이 강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여성의 경우 갱년기에 급격히 늘어나는 체지방량이 근육량 감소보다 당뇨병 발병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김 교수는 "이 연구에서 비교적 젊은 연령에서도 근육량이 줄어들면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며 "당뇨병 발병 위험을 낮추려면 자신의 체성분과 사지 근육량을 정확히 측정하고 이에 맞는 음식 섭취와 운동을 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청장년기 때부터 유산소운동과 함께 팔다리 근육량을 키울 수 있는 스쾃, 런지, 가벼운 아령 들기와 복근 강화 운동을 평소 꾸준히 하면 노년기 건강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한당뇨병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당뇨병 및 대사성질환'(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최신호에 발표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