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TP, 다이텍연구원 등, "우즈벡ㆍ과테말라ㆍ에티오피아 섬유산업 지원"
대구경북의 섬유산업 기술과 운영 노하우가 우즈베키스탄, 과테말라, 에티오피아 등 제3세계를 통해 다시 꽃 피고 있다. 특히 이들 국가들은 러시아권과 유럽, 중남미, 미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교두보에 위치한데다 풍부한 섬유 원료와 인력을 갖춰 국내 섬유산업이 새로운 활로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경북테크노파크(경북TP)는 올해 말까지 10개월 간 우즈베키스탄 섬유테크노파크(TTP) 조성 지원사업에 참여한다. 정부의 산업통상협력개발지원사업(ODA)으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지금까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을 주관기관으로 해 진행해 왔으나 TTP의 성공적 운영·발전을 위해서는 대구경북 섬유산업의 기술 및 노하우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올해 2월 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경북TP는 ▷현장 실무교육 ▷R&D를 위한 실험·분석장비 구축 ▷기업체·협회·대학·연구소 간 협력과 기술 개발 및 이전 ▷테크노파크 규정 및 지원 체계 등 전반적인 운영 노하우를 우즈벡 측에 전수하고 있다.
우즈벡은 원면·실크 등 섬유 원료와 인력이 풍부한 반면 공정기술이 뒤처져 산업 발전에 애로를 겪고 있다. 한국 정부는 원자재부터 소재·제품까지 계열화가 가능한 섬유생산벨트를 중앙아시아 지역에 구축한다는 방침을 갖고 있다.
경북TP는 또 다이텍연구원과 함께 올해 5월부터 2021년 말까지 중남미 국가인 과테말라의 섬유산업 현장에서 겪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업을 진행한다. 과테말라는 섬유산업이 국가 GDP의 8.9%, 수출의 14.6%를 차지하고 있으나 섬유 생산기반시설이 낙후하고 기술인력이 부족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과테말라 섬유 수출액 중 70%를 한인 기업이 점유하고 있다.
이에 앞서 경북TP와 다이텍연구원, 한국섬유산업연합회 등은 지난해 6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55개월 간 일정으로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 섬유테크노파크(EKTTP)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건축부지·비용만 에티오피아 측에서 부담할 뿐 건축컨설팅에서부터 장비 구축·운영방안 제시·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운영, 기업진출 지원 등 거의 모든 분야를 한국 측이 담당한다.
이재훈 경북TP 원장은 "중국과 동남아지역의 인건비 상승과 무역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한국 섬유가 새로운 해외생산기지를 찾아야 할 상황에 처했다"며 "중앙아시아와 중남미, 아프리카 주요국에서 대구경북의 섬유 기술과 노하우를 높게 평가하고 있는 만큼 글로벌 동반성장 파트너로 삼아 지역 섬유산업 부활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