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경제 보복을 예정된 시나리오대로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전남 무안에서 열린 한 행사에 참석해 "전남 주민들이 이순신 장군과 함께 불과 열두 척의 배로 나라를 지켰다"는 발언을 했다. 이는 원고에 없는 발언으로, 문 대통령은 이날 '이순신 장군'을 세 번이나 언급했다. 일본의 수출 규제에 정면 대응 의지를 밝힌 작심 발언으로 해석된다.
한마디로 지금 상황에 도움이 되지 않는 부적절한 발언이다. 도대체 지금 시점에 422년 전의 '명량해전' 얘기가 왜 나오는지 참으로 모르겠다. 그런 '민족감정팔이'로는 아무것도 해결할 수 없다. 우리가 일본의 경제 보복에 맞대응할 실질적인 수단이 있나? 안타깝지만 별로 없다. 그게 우리의 엄연한 현실이다. '이순신 장군'과 '12척의 배'를 아무리 상기한들 이런 현실이 바뀌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취해야 할 최선은 무엇인가. 우리가 처한 현실 내에서 해법의 실마리를 찾는 것이다. 바로 외교적 해결이다. 그러나 이것도 잘 안 되고 있다. 미국에 중재를 요청하러 갔던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사실상 '빈손'으로 돌아왔다. 그가 푼 보따리는 "미국이 일본의 수출 규제가 한·미·일 공조에 도움이 안 된다는데 세게 공감했다"는 것뿐이다. 얼마나 할 말이 없으면 '세게'라고 굳이 강조했을까. 수출 규제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일본에 갔던 우리 대표단도 모욕적인 홀대만 당하고 성과 없이 돌아왔다. 예상됐던 결과다.
문 대통령의 발언은 일본을 더욱 자극해 그렇지 않아도 좁디좁은 외교적 해결 통로의 폐색(閉塞)을 더 심화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의 현실과 괴리된 강경 발언은 이번만이 아니다. 지난주 30대 기업 총수 간담회에서 "일본은 막다른 길로 가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런 발언을 하려면 일본이 '막다른 길'로 갔을 때 내놓을 카드가 있어야 한다. 문 대통령에게 그런 게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문 대통령은 아무 말 않고 조용히 있는 게 낫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