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실 김해신공항 '침묵모드' 장기화 전망
김해신공항 재검증과 관련, 국무총리실이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어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부산·울산·경남(부울경)과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20일 김해신공항 국무총리실 재검증에 합의한 지 보름이 지났지만 명확한 입장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부울경과 국토부가 '동남권 관문공항으로 김해신공항이 적정한지 총리실에서 논의하기로 하고 그 결과를 따른다'는 내용에 합의하고 공식 발표까지 한 만큼 시간을 지체할 여유가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달 25일 권영진 대구시장과 윤종진 경북도 행정부지사가 정운현 국무총리 비서실장을 직접 만나 김해신공항 재검증에 대한 대구경북의 요구 사항을 전달한 바 있다. 요구사항은 이낙연 총리에게 곧바로 보고된 것으로 파악됐지만 이 총리는 열흘째 함구 중이다.
권 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이 총리와 면담을 조율하고 있지만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국회 일정과 이 총리의 해외순방 등을 감안하면 총리실의 김해신공항에 대한 '침묵 모드'는 더 장기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총리실 한 관계자는 매일신문 기자와 통화에서 "권 시장 등이 비서실장에게 건의문을 주고 가셨는데 그 이후로는 들은 바도 없고 전달받은 내용도 없다"며 "재검증에 대해선 여전히 실무적으로 고민을 하고 있는 정도다. 초동 단계에서 여러 사안들을 함께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재검증 성격과 범위, 시기, 절차, 방식, 재검증 결과 이후 사업추진 방향은 물론 영남권 5개 시·도 참여 문제에 이르기까지 신속한 결정과 추진이 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당초 안전성이나 경제성 측면에서 국토부가 여러 차례 자신감을 보였기 때문에 김해신공항을 결정적으로 무산시킬 또 다른 카드를 모색하고 있을 수 있다는 얘기까지 나온다"며 "이 총리의 결정이 늦어질수록 온갖 억측에 휩싸이게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