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눈 클리닉] 안와골절에 대하여

입력 2019-07-02 09:26:28

잘보는안과 문홍재 원장
잘보는안과 문홍재 원장

안와골절은 얼굴과 얼굴주위의 둔기외상에 의하여 흔히 발생하며,상해부위나 기전에 따라 여러가지 손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안와파열골절의 약 1/3에서 안구의 손상이 동반되므로 세심한 안구 검사도 필요합니다.

안과영역에서는 단단한 안와뼈의 가장자리는 보존된 채 얇은 안와하벽이나 내벽에 골절이 발생된 경우가 흔합니다.

안와파열골절의 임상 증상은 매우 다양하며, 검사시기, 외상의 정도, 동반 외상 여부에 따라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부터 실명까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먼저 안구운동제한이 나타날 수 있는데,이는 안와부종과 출혈,외안근 또는 주위조직이 골절 틈에 끼거나 외상으로 인한 외안근의 부종이나 출혈, 외안근 지배 신경의 마비 등에 의하여 발생합니다.

또한 이러한 안구운동제한이 있으면 사물이 두 개로 보이는 복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주로 골절이 있는 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에서 많이 나타나게 됩니다.

두번째로 안구함몰이 보일 수 있는데, 이는 골절된 뼈 조각의 전위로 인한 안와 용적의 증가, 외안근이 골절 틈에 끼어 발생한 안구의 후방 전위, 안와지방의 탈출, 안와지방의 위축 및 안구 후방 조직의 섬유화 등에 의하여 발생하게 됩니다.

외상 초기에는 부종으로 인해 안구함몰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오히려 안와출혈, 안와기종 등에 의해 안구돌출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세번째로 안와기종은 골절로 인해 발생한 틈으로 코곁굴을 통해 공기가 안와로 유입된 상태로 안과골절의 약 50%에서 발견되며,내벽골절 때 가장 흔합니다.

대부분이 저절로 흡수되지만 드물게 안와내 압력이 증가하여 시력감소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안와기종의 발생을 막기 위하여 안와골절 환자는 코를 심하게 풀거나 기침, 재채기 등을 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네번째로 안구심반사가 발생할 수 있으며,심한 부종 또는 외안근이 골절 틈에 끼인 경우에 미주신경이 자극되어 구토, 오심, 서맥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드물게 심부정맥이 발생하거나 실신할 수도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대개 소아에서 발생하며,소아 안과골절환자에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응급수술을 요하는 징후의 하나로 생각되기도 합니다.

다섯번째로 안와 아래 신경의 손상이 발생하여, 안와 아래 신경의 분포영역에 감각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각 저하는 손상이 있는 쪽의 아래눈꺼풀, 콧망울, 위턱부위, 윗입술, 잇몸, 일부 치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안와아래신경 손상은 수개월에서 1년 정도 경과하면 저절로 회복되지만 심한 경우 지속되기도 합니다.

그 밖에 눈꺼풀의 부종과 출혈얼룩, 결막밑출혈, 코출혈 등이 흔히 동반됩니다.

이러한 안와골절은 임상 소견만으로 의심할 수는 있으나 확진과 수술을 위해서는 방사선 검사가 필수적이며, 가까운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도움말 : 대구 잘보는안과문홍재 원장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