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만명의 신용점수 평균 33점↑, 46만명 신용등급 한 등급↑
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 대출자의 신용점수·등급을 내리는 신용평가 관행이 25일부터 사라진다.
금융위원회가 24일 발표한 개인 신용평가체계 개선안에 따르면 신용평가회사(CB)가 신용점수·등급을 계산할 때 소비자가 이용한 금융권의 반영비율을 낮추고, 대출금리의 반영비율을 높이도록 했다.
대출 계약을 하게 되면 신용점수 및 등급이 일정 정도 하락하는데, 제2금융권에서의 하락 폭이 은행권보다 더 컸다. 신용위험을 나타내는 대출금리를 고려하지 않은 채 제2금융권 이용 사실만으로 일률적으로 하락 폭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번 개선안으로 제2금융권을 이용했더라도 대출금리가 낮으면 신용점수·등급이 비교적 적게 떨어지게 된다. 금융위는 개선안이 적용되면 상호금융·보험·카드·캐피털 이용자 총 94만명의 신용점수가 평균 33점 오르고, 이 가운데 46만명의 신용등급이 한 등급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금융이는 올 1월 저축은행권 이용자를 대상으로 같은 내용의 개선안을 앞서 시행했다. 그 결과, 저축은행권 이용자 68만명의 신용점수가 평균 65점 올랐고, 이 중 40만명의 신용등급이 한 등급 이상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위는 "향후 통계 검증을 통해 개인 신용평가 모형의 대출금리 반영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정확성을 더 높이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