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 사고 대응위한 생존수영 교육 의무화하지만, 지역 인프라 턱없이 부족

입력 2019-06-20 06:30:00

대구시교육청, 내년에도 전체 학생의 65.6%만 교육 혜택
일반인들은 교육 받기조차 쉽지않아

세월호, 헝가리 유람선 참사 등 연이은 수상 사고로 '생존수영'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지역 내 관련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장 내년부터 초등학생 의무교육으로 확대되지만, 장소 섭외부터 어려움을 겪어야 할 형편이다.

19일 대구시교육청에 따르면 시교육청이 지금까지 생존수영 교육을 위해 확보한 수영장은 30곳에 불과하다. 이 중 지역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등의 자체 운영 수영장이 8곳이고, 두류수영장 등 민간 수영장이 10곳, 나머지 12곳은 지자체 및 위탁운영 중인 문화체육센터 등의 수영장이다. 간이수영장(가로 7.5m, 세로 15m, 높이 1.2m) 1곳도 사용하고 있다.

시교육청은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2014년부터 지역 229개 초등학교 3~6학년 4만8천476명을 대상으로 생존수영 교육을 진행해 왔다. 내년부터는 초등학생 전 학년으로 생존수영 의무교육이 시행됨에 따라 모두 8만2천명으로 교육대상을 확대한다.

하지만 내년에도 대구지역 전체 초등학생(12만4천980명)이 혜택을 받을 수는 없는 형편이다. 시설과 인력 부족 등으로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아 전체 초등학생의 65.6%만 교육할 수 있는 것.

30곳의 수영장에는 기존 수영 강습도 있다 보니 시교육청이 확보한 레일 수는 각 2~3개 정도로, 100여명만 한 번에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가장 규모가 큰 학생문화센터조차 240명밖에 수용할 수 없다 보니 수만명의 학생이 교육받기엔 태부족이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우선 지역 수영장과 연계해 레일 수 추가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교육 실효성 논란이 있는 간이수영장 추가 설치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의무교육이 생존수영 교육 4시간을 포함해 1년에 수영장 이용 실기교육 10시간에 불과해 형식적일 뿐 실질적 도움이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생존수영 교육 시 교육장소의 수심이나 길이 등의 기준도 정해진 것이 없다는 목소리도 있다.

최영상 대구보건대 소방안전관리과 교수는 "생존수영에 대한 초등학생 교육 의무화 계획이 반쪽에 그치지 않으려면 교육 여건 마련과 인프라 보충이 선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생존수영협회 관계자는 "생존수영은 물에 뜨는 것만이 아니라 부력도구 이용하기, 가까운 거리 이동법 등 다양한데 단기교육으로 체득하기는 쉽지 않다"며 "전체 커리큘럼에 대해 전문가들과 상의해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