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객 400만' 대구국제공항, 폭발적 성장 맞춰 693억 투자 '환골탈태'

입력 2019-06-12 18:37:52 수정 2019-06-13 12:26:14

"현 시설로 더 늘어날 항공수요 감당 못해"… 8월부터 단계적 시설 개선 착수
2020년부터는 호텔 에어포트 증축해 국내선 전용 터미널로… 수용능력 제

대구공항 로비가 연휴기간 동안 해외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매일신문DB
대구공항 로비가 연휴기간 동안 해외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매일신문DB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대구국제공항이 폭발적 성장에 맞춘 '환골탈태'를 시작한다. 여객터미널은 물론 항공기 주기장과 탑승교, 주차장 등 시설 전반을 대대적으로 개선해 명실상부한 '지역거점 국제공항'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한국공항공사 대구지사는 오는 8월부터 2022년까지 대구공항에 총 69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단계적으로 시설 개선 및 확충사업에 착수한다고 12일 밝혔다. 현재의 시설로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항공수요를 도저히 감당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우선 단기 계획으로 올해부터 60억원을 들여 항공기 탑승교를 3개에서 4개로, 주기장을 9면에서 10면으로 늘린다. 주기장은 항공기를 세워놓을 수 있는 공간을, 탑승교는 항공기와 터미널을 이어주는 시설을 말한다. 이 경우 한 번에 소화할 수 있는 항공기 대수를 늘릴 수 있다.

넓이가 1천554㎡에 불과한 데다 대기석도 192석뿐이어서 불편하다는 민원이 잦았던 국제선 격리대합실도 7억3천만원을 들여 260㎡가량 확장한다.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도 1대씩 추가하고, 상시 만원사례를 빚었던 공항 주차장도 배치를 조정해 99면가량을 추가 확보하기로 했다.

호텔 에어포트로 쓰고 있는 옛 청사 건물의 임대차계약이 끝나는 내년 8월부터는 본격적인 중기 계획에 들어간다. 현 호텔 주차장 부지에 22억6천만원을 들여 800㎡ 규모의 화물터미널을 신축하고, 남는 부지는 55면가량의 주차장으로 전환한다.

대구국제공항에 민항기가 계류 중인 가운데 공군 전투기가 착륙하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대구국제공항에 민항기가 계류 중인 가운데 공군 전투기가 착륙하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옛 청사 건물은 400억원을 들여 증축과 리모델링 작업에 착수, 2022년까지 국내선 전용 터미널로 개청할 계획이다. 이 경우 현 청사는 국제선 여객 전용으로 운영할 수 있어 현재 375만명 수준인 연간 수용 능력을 대폭 높이게 된다.

또 2021년까지 총 167억원을 들여 연면적 1만3천㎡ 규모의 주차빌딩을 신축하고, 기존 용량 대비 150% 이상 큰 항공유저장소도 신설하는 등 승객과 항공사를 위한 편의시설도 대폭 늘리기로 했다.

한국공항공사는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사업이 이뤄지면 모두 매몰 비용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증축을 망설였지만, 올해 대구공항이 이용객 500만명에 가깝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자 과감히 투자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최신 기사